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식당, 과연 나도 성공 가능할까
    World Wide 2017. 6. 9. 15:04
    반응형
    윤식당, 과연 나도 성공 가능할까
    2017-06-09 허유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무역관

    - 마나도 관광산업 투자 국제 콘퍼런스 참석 후기 -

    -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장, 관광산업 개발 관련 부처 장관들 대거 참석, 관광지로의 외국인투자 유치 적극 노력 -


     

    □ 마나도를 중심으로,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정부정책 현주소

     

    마나도 스노쿨링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

     

      ㅇ 조코위 대통령은 2016년 11월 자카르타 샹그릴라 호텔에서 열린 포브스 글로벌 CEO 콘퍼런스에서 인도네시아는 발리(Bali), 파푸아의 라자 암빳(Raja Ampat), 서부 누사 뜽가라(Nusa Tenggara)의 만달리까(Mandalika), 동부 누사 뜽가라의 코모도(Komodo) 섬과 같이 반드시 가봐야 할 아름다운 장소들이 수천 개가 존재함을 언급함.

     

    조코위 대통령이 언급한 인도네시아 관광지

     

     자료원: World Atlas


      ㅇ 또한 2017년 4월에는 조코위 대통령이 5월에 개최될 마나도 관광산업 육성 콘퍼런스에 많은 관심을 표했다고 현지 언론에 보도됨.


      ㅇ 관광산업 육성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끌어내기 위해 국적기인 가루다 인도네시아는 북부 술라웨시에 있는 마나도(Manado)와 같이 주요 관광지에 각국으로부터의 직항 노선을 개설하기 시작했음.


      ㅇ 인도네시아는 물류 유통망 체계를 개선하고 사람 또한 이동을 수월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국토, 해양, 항공 교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음.


      ㅇ 해당 구축 활동은 파푸아와 미앙아스(Miangas)와 같이 주요 지역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면적이 넓은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 중이며, 이는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취지임. 


      ㅇ 조코위 대통령은 'Wonderful Indonesia'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 걸고 2019년까지 주요 10개 관광지의 개발을 위해 100억 달러의 투자유치를 목표로 삼고 있음.


      ㅇ 인도네시아는 이웃 국가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경쟁하면서 세계에 좋은 이미지를 알리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세계 각국에 'Wonderful Indonesia'가 홍보되도록 각고의 노력을 기울임.


      ㅇ 최근 한국에서는 '윤식당'이라는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방영해, 각계각층의 시청자들을 TV 앞으로 소집했음. 윤식당은 인도네시아 롬복(Lombok)이란 섬에서 촬영됐고, 롬복의 매력은 시청자들을 사로잡아 프로그램이 종영한 지금까지도 윤식당이 회자되고 있음.

     

    최근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열광시킨 윤식당

    자료원: http://program.tving.com/tvn/younskitchen


      ㅇ 이렇게 인도네시아 롬복에서의 식당이 최근 화제가 되면서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으로도 인도네시아에서 의 식당 운영에 대한 문의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음.


      ㅇ 이에 콘퍼런스 후기에 이어 연재물로 인도네시아 관광산업의 현 주소, 정부정책, 관광명소 사업 가이드라인 등을 제시하고자 함.

      

    □ 인도네시아 마나도 관광산업 투자유치 국제 콘퍼런스 취재 현장

     

    마나도 콘퍼런스 현장 사진

     

    자료원: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직접 촬영

     

      ㅇ 5월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진행된 마나도 관광산업 투자유치 콘퍼런스는 중국, 미국, 태국, 호주, 일본, 한국 등 각국 주요 정부 기관장들을 포함 37개사 및 기관이 참석한 소규모 집중토론 콘퍼런스임.


      ㅇ 정부 차원에서 지역균형개발을 위한 관광산업 육성을 적극 장려하고 있으며, 관광산업개발 및 육성에 관여하고 있는 각 정부 부처의 장급이 대거 참석해 콘퍼런스를 장려하고 패널토론을 통해 마나도 포함한 북부 술라웨시 관광산업 육성과 투자유치에 대한 의견을 피력함.

     

    콘퍼런스 주요 일정 및 연사

    일시 

    주요 내용

    연사 혹은 토론 참석자

    5.22.(월)

    등록

    없음

    5.23.(화)

    모의 관광 체험:

    Group1 비뚱(Bitung) 지역

    Group2 마나도(Manado)

    없음

    5.24.(수)

    (패널토론) 새로운 관광명소 개발에 대한 정부의 역할 재조명

    H.R. Arif Yahya 관광부 장관

    H.R. Budi Karya Sumadi 교통부 장관

    H.R. Thomas Lembong 투자조정청장

    (발표) 마나도 관광투자 로드맵

    Mr. Julian Smith PricewaterhouseCoopers Indonesia Advisory 사 기술 고문

    (패널토론) 관광산업에서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마나도가 얻는 이득

    Mr. Kosmian Pudjiadi, KADIN(인도네시아 상공회의소) 부회장 외 전문가 3명

    (동시세션)호텔, 리조트, 관광객 시설, MICE, 소매유통 투자 기회

    Mr. Budi Tirtawisata, Panorama Group 사장 외 3명

    관광 인프라, 물류, 에너지, 교통 투자 기회

    Mr. Baringin Nababan 투자 PLN사 술라웨시 지역본부장 외 3명

    직업 교육, 관광 및 헬스케어 직업 훈련분야 투자 기회

    Mr. Abraham Talumewo 마나도 실로암 병원장 외 3명

    인도네시아 동부 관광 명소

    Mr. Winsu Soedibjo 마카사르(Makassar) 시 시장 외 3명

     

      ㅇ 마나도 관광산업 조건

        - 특히 북부 술라웨시 지역의 대표 관광 명소인 마나도의 경우 지리적으로 동남아의 한 가운데에 자리 잡아 주요 국가들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자리잡고 있다고 함.
        - 비행시간 기준으로 베이징·서울 등 중국 및 한국 대도시로부터 5시간, 광저우·항저우 등의 중국 대도시로부터 4시간, 홍콩·마카오·싱가포르·팔라우 등으로부터 3시간 거리에 소재함. 관광객들이 큰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지역임.

     

    동남아의 중심 관광지, 마나도의 지리적 이점

    자료원: PwC(마나도 콘퍼런스 주요 자료)

     

      ㅇ 마나도 유입 관광객 수 추이

        -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이미 인도네시아 내국인 관광객 수는 50만 명에서 122만3515명으로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외국인 관광객수는 대외적으로 알려진 바가 거의 없던 2012년에 비해 2016년에 5만 명가량으로 소폭 증가했음. 2017년에도 외국인 관광객 유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이러한 추세로 시뮬레이션을 해볼 때 내국인 및 외국인이 마나도를 방문하는 횟수가 갈수록 증가할 것이며, 마나도가 최근 정부에 의해 적극적인 해외 홍보와 개발이 이뤄지고 있어 전통적인 관광명소를 주로 찾던 관광객이 마나도 등 북부 술라웨시 등지로 유입될 것으로 보임.

     

    2012년부터 2030년까지 마나도 유입 관광객 추이 및 추정치

    자료원: PwC, 마나도 콘퍼런스


      ㅇ 투자 진출 인센티브

        - 마나도 관광산업에 투자할 경우 크게는 수입 허가 시설 및 수입 규제 시설에 대한 통관 혜택, 조세 혜택, Tax holiday에 대한 아래 4가지의 혜택을 받을 수 있음.


    수입 허가시설에 대한 통관 혜택

    조세 혜택

    ① 신속하고 확실한 통관 보장

      - 자본재는 검사를 필요로 하지 않음

      - 3~5일에서 소요되는 과정을 30분으로 단축 

    ② 간소화 된 요구사항

      - 현재 공사 중인 프로젝트

      - 투자조정청(BKPM)의 추천

      - 분기별 보고 의무

    ① 30% 조세 감면 혜택

      - 6년간 법인세(corporate net income)* 5% 감면 

    ② 145개 사업 분야에 대한 조세특별조치*

      - 조세특별조치 가능 사업 분야 수 증가(기존 129개 → 145개)

      * 투자액, 원산지, 고용 창출, 현지 사업 계획등의 특정 조건 하

    수입 규제 시설에 대한 통관 혜택

    Tax Holiday

    기계, 상품, 생산을 위한 원자재에 대한 수입 규제 제품에 대한 혜택 사항

    ① 기계 및 장비에 대한 수입세 면제

    ② 원자재에 대한 2년의 수입세 면제

    ③ 만일 투자가가 현지 생산된 기계 및 장비를 최소 30% 이상 이용할 경우 2년 추가로 원자재에 대한 수입세 면제 가능

    제품 생산 시기로부터 5~15년간 조세 감면이 특별 조건에 의해 최대 20년 연장 가능

    - 주로 최소 1조 루피아(8,000만 달러) 투자 및 신기술을 보유한 5,000억 루피아(4,000만 달러) 프로젝트의 경우 해당됨

    - 투자 우대산업* 프로젝트에 대해서 10~100% 법인세 감면 가능하며, 고도기술이 동반되는 투자건의 경우 5억 루피아에서 1조 루피아 사이 규모의 투자 건에 대해 최대 50% 법인세 감면

    * 원유 정제, 산업기계제조산업, 농업, 임업, 어업, 통신, 정보통신, 해운, SEZ(특별경제구역) 사업, 인프라 구축 사업 등

    주: (관련 법) Government regulation no.9/2016, Ministry of Finance Regulation no 176/PMK/011/2009,

    jo Ministry of Regulation No 76/PMK.011/2012, jo Ministry of Regulation No 188/PMK.010/2015

     

      ㅇ 마나도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주요 계획

        - 관광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 관련 투자계획에는 공항 시설 확장, 대중교통시설 개선, 해양국립공원 운영, 도로 건설 등이 있으며, 전문가가 제시한 마나도 관광 프로젝트 투자 계획 종류와 예상 비용은 다음과 같음.

     

    마나도 관광 투자 프로젝트 주요 계획

    번호

    사업명

    상세 내용

    1

    해양 공원 운영

    - 장소: Bunaken, 해안가

    - 사업 개요: 운영, 보안, 관람 시설 등

    - 예상 비용: 1000만 달러(인프라 운영 및 보존)

    2

    공항 확장, 관련 시설 투자

    - 장소: Gateway & Aero Park

    - 사업 개요: 서비스 및 이동 가능 루트 확장, 출입국 절차 간소화 (in-out), 도착비자

    - 예상 비용: 공항 시설 업그레이드(1억5000만 달러)

    3

    고속도로·버스 전용도로

    보수 및 신규 공사 

    - 장소: Airport – Bunaken – Manado Town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 신규 고속도로(20km) 1200만 달러

    · 기존 고속도로 업그레이드(20km) 500만~4,000만 달러

    4

    일반 도로 공사

    - 장소: Bunaken Coastal Route Manado – Malalayang Manado – Tomohon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구체화 중

    5

    해안가 프로젝트, 페리사업

    - 장소: Manado Town

    - 사업 개요: 해안가 공원, 문화공간(식당, 무인정보 단말기 등)

    - 예상 비용: 2500만~1억 달러

    6

    상수도 시설

    - 장소: 구체화 중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 상수시설 1억~1억5000만 달러

    · 수처리 시설 1,500만~6,000만 달러

    7

    토양 폐기물 관리

    - 장소: 구체화 중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토양 폐기물 처리 시설 5000만~1억 달러

    8

    재활용, 폐기물 활용

    에너지발전

    - 장소: 구체화 중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2000만~8000만 달러

    9

    전력 생산 공장 사업

    - 장소: 구체화 중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 전력 발전소 7억5000만 달러

    · 전기 공급 5000만 달러

    10

    가로등 사업

    - 장소: 구체화 중

    - 사업 개요: 구체화 중

    - 예상 비용: 1500만 달러

     자료원: 마나도 콘퍼런스 자료

      

      ㅇ 마나도 주요 관광 자원

        - 마나도 포럼 참가 연사들이 추천하는 마나도 1주일 관광 코스를 보면 다이빙, 레스토랑, 해양공원, 해변, 스노클링 등의 다양한 분야가 존재해 진출 가능한 관광 산업 분야 또한 많이 존재
        - 위 관광활동은 결국 요식업, 종사자 직업 훈련 투자, 숙박업, 의료시설, 크루즈 등 운송장비 등에 대한 투자와 직결된다고 볼 수 있음.

     

    마나도 콘퍼런스 연사들이 마나도 관광객에게 추천하는 1주일 코스 여행

     

    자료원: PwC(마나도 콘퍼런스 주요 자료)

      

    □ 마나도 콘퍼런스 참석 전문가 의견


      ㅇ 마나도 관광투자 이유

        - 마나도는 지리적 이점 외에도 치안이 좋고, 주민들이 외부인에게도 친절하며, 다양한 문화가 공존해있는 흥미로운 지역임. 
        - 아름다운 자연의 경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169개국으로부터 온 관광객에 무비자 입국을 허가해 관광객이 부담없이 머물고 갈 수 있는 법적인 제도가 안정적으로 마련돼 있음.
        - 마나도는 사이클론 지대에 있지 않아 연중 기후가 관광에 최적화돼 있어 관광객이 연중 내내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관광산업은 더욱더 발전할 예정으로 투자할 가치가 높음.


      ㅇ 마나도 관광 투자에 대한 소견

        - 인도네시아 관광부 Arief Yahya 장관은 북부 술라웨시에서의 관광명소 개발은 이 관광 명소가 더 많은 매력포인트, 접근성, 생활편의시설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
        - 또한 그는 생활 편의 시설이 낙후돼 있으며 마나도의 호텔 수가 부족한 상황이라, 해당 관광지에서 관광객을 더 많이 유치할 수 있을 만한 매력 포인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음.
        - 시설과 접근성에 대한 투자 부진은 북부 술라웨시 관광 산업의 큰 고민 거리였으며 투자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투자청과 함께 관광부, 북부 술라웨시 지역청, 관련 주요 업체들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야 할 것임. 
        - 토마스 렘붕 투자조정청장은 해당 마나도 콘퍼런스에서 술라웨시 지역의 관광산업으로만 4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 협약이 체결됐다는 점은 외국 투자가들이 인도네시아 관광산업에 더 많이 투자하게 될 것임을 반증하는 생생한 증거가 될 것으로 언급
        - 체결된 협약에는 중국 투자가와 인도네시아 기업 간의 호텔, 아파트, 쇼핑몰, 다이빙 센터 관련 남부 술라웨시 지역으로의 2억 달러 규모의 투자 건이 있음. 또한 미국 투자가와 인도네시아 기업 간 리조트형 오두막, 관광객을 위한 시설 관련 라자 암빳(Raja Ampat) 지역으로의 2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약 건이 있다고 함.
        - 또한 중국 대련 해양대학과 인도네시아의 5개 대학(반둥 공대, 쌈라뚤랑이(Sam Ratulangi) 대학, 마나도국립대학포함) 간 관광산업분야 사업 파트너 협약이 체결됐다고 함.
    두 개의 사업 투자 협약서와 학계 간 협약서는 관광과 해양산업을 육성코자 하는 인도네시아 정부의 노력 끝에 맺어진 결실임을 강조 
        - 또한 북부 술라웨시 Olly Dondokambey주지사는 외국인 및 내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주정부의 투자 행정 절차를 유연화할 계획임을 밝힘.


      ㅇ 유망 관광 투자사업 종목 및 관광 명소

        - 연사 및 패널 토론자들이 제시한 북부 술라웨시에서의 관광산업 투자 유망업종에 대한 패널토론을 진행했음.
    관광객이 갈수록 많이 유입되는 지역에서 요식업은 매우 중요한 사업으로 유망 전도하며 사업 아이템으로 보고 있으나, 진입장벽이 낮은 분야라 다른 식당들과의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
        - 특히 숙박산업의 경우 관광지에 아직 충분히 갖춰지지 않아, 2017년 5월 정부는 육성 대상 관광명소 중심으로 홈스테이 시설을 늘릴 계획이 있는 등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
        - 또한 교통 및 시설 인프라도 더 개선돼야 하는 상황으로 공항 증축 및 관련 프로젝트, 전력발전 및 공급, 상수도 시설, 폐수 처리, 폐기물(쓰레기) 관리 등에 대한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음. 고속도로 및 일반 도로, 관광버스용 도로 신규 구축 및 기존 도로 개보수에 대한 프로젝트도 진행할 예정임.
        - 직업 훈련도 빠질 수 없는 투자 프로젝트로, MICE 및 관광산업 종사자들에 대한 선진 교육 프로그램, 시설 등을 도입이 시급한 상황

     

    전문가가 추천하는 유망 업종, 명소 및 이에 따른 세부 종목

    유망 업종 및 명소

    세부 종목

    관광산업 전반

    리조트, 호텔, MICE, 크루즈, 선박, 해양 스포츠, 소매유통업 등

    인프라 및 인프라 지원

    공항 증축 및 관련 프로젝트, 전력발전 및 공급, 상수도 시설, 폐수 처리, 폐기물(쓰레기) 관리, 관광버스, 택시, 물류, 길거리 가로등, 스마트 관광 및 연결성(connectivity)

    직업훈련 및 헬스케어,

    지속가능한 발전

    손님 응대 훈련, 식품 생산 직업훈련, 어업 및 농업 개발 직업훈련, 헬스 케어,

    헬스 관광, 교육 등의 지속 가능한 경영 등

    동부 인도네시아 관광 명소

    와까또비 섬(Wakatobi Island), 라자 암빳 군도(Raja Ampat Islands),

    모로따이 군도(Morotai Islands), 마까싸르(Makassar)

      

    □ 현장 요약 및 시사점


      ㅇ 해당 콘퍼런스에는 4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투자 협약 체결 행사가 동시에 진행된 정부 각계 유명인사들이 참석한 콘퍼런스로, 소규모이나 참가자 간 1:1 긴밀한 네트워킹이 가능하게끔 행사 일정을 촘촘하게 구성


      ㅇ 7명의 주요국 대사와 중국, 태국, 호주, 일본 비즈니스 협회가 북부 술라웨시 관광산업 투자 관련 1:1 비즈니스 미팅에 참석했을 정로 인도네시아와 외국 정부 및 기업 전부 북부 술라웨시 관광 산업 육성을 위한 관계 형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미팅 당사자간 상호 협력해나갈 것임을 밝힘.  


      ㅇ 술라웨시 외에도 자카르타나 자바와 같은 주요 지역 외의 관광산업을 육성코자 조코위 대통령부터 나서서 관광지로의 투자 유치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상황이며, 이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관광산업을 경제성장에 이바지하는 주요 신성장동력으로 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ㅇ 다른 지역이긴 하지만 인도네시아 관광명소인 롬복에서 윤식당이 촬영된다고 하자 지방정부 및 인도네시아는 무척 반겼으며, 해당 프로그램은 현지 정부의 많은 관심과 협조 하에 순조롭게 촬영됐음. 


      ㅇ 그만큼 관광산업으로의 투자유치를 위해 주정부 및 인도네시아 정부가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식당업의 경우 2016년도 네거티브 투자 업종에서 제외돼 외국인 투자지분을 100% 인정하기 시작


      ㅇ 또한 인도네시아 관광산업은 5년 동안 꾸준히 성장해 투자가치가 높은 분야임.

     

      ㅇ 인도네시아 전 지역으로 유입되는 전체 외국인 관광객 수는 최근 5년 사이에 꾸준히, 그러나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14년 940만 명이었으나 2015년 1041만 명으로 급증했음. 2016년 또한 1202만 명으로 관광객 수가 150만 명 이상 증가했음.

        - 이에 따른 관광산업을 통한 매출도 비례해 증가하는 상태이며 2016년에는 1244만 달러를 기록


      ㅇ 동시에 내국인 관광객도 외국인 관광객 추세와 비슷하게 5년 사이에 꾸준히 증가하며 2016년에는 인도네시아 총인구 수와 맞먹는 약 2억6000만 명이 인도네시아에서 관광을 한 것으로 집계됨.


      ㅇ 무엇보다 2017년도에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로 인해 한-중 간 문화콘텐츠 교류 및 관광 산업에 우선적으로 타격이 간 결과, 한-인도네시아 간 인도네시아 관광 교류가 양국 모두에서 재조명되는 화두임. 인도네시아는 현재 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류에 개방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음.


      ㅇ 동시에 인도네시아 관광산업으로의 우리 기업 진출 및 우리 국민의 창업이 큰 관심사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마나도 등 북부 술라웨시로의 한국 기업들의 투자도 중국, 미국에 이어 적극 장려되고 있음.

      

      ㅇ 북부 술라웨시뿐 아니라 인도네시아 다른 관광명소 또한 적극적으로 장려될 예정으로 인도네시아 관광지에서의 요식업, 숙박업 등의 각종 유망 업종 종사를 원한다면 사전 시장조사를 통한 투자손익 시뮬레이션 절차를 거치고 투자법 및 부동산법을 사전에 숙지할 필요가 있음.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동향 및 투자 진출 가능성 - 
    - 식당도 외국인 투자진출 건으로 신중한 접근 필요해 -

     

     


    □ 인도네시아 관광 산업 동향


    롬복에서의 Wonderful Indonesia

     

    자료원: Indonesia.tripcanvac.com


      ㅇ 인도네시아 조코위 대통령은 'Wonderful Indonesia'란 구호를 내 걸고 관광산업을 인도네시아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동력으로 지정, 2018년까지 10대 정부 지정 관광지(KSPN) 주변 인프라 및 편의시설 개발 위해 각 관광지당 정부예산 500억~1000억 루피아 투입할 예정임. 2019년까지는 인도네시아 정부 예산 총 100억 달러 투입 계획 중


      ㅇ 10대 정부 지정 관광지에는 또바 호수(Lake Toba), 딴중 끌라양(Tanjung Kelayang), 딴중 르숭(Tanjung Lesung), 끄뿔라우안 스리부, 자카르타 구시가지(Kepulauan Seribu&Kota Tua Jakarta), 보로부두르 사원(Borobudur), 브로모-뜽으르-스므루(Bromo-Tengger-Semeru), 만달리까(Mandalika), 라부안 바조(Labuan Bajo), 와까또비(Wakatobi), 모로따이(Morotai)가 포함돼 있음.


      ㅇ 인도네시아 관광부에 의하면 외국인과 내국인 관광객 수는 2012년에서 2016년까지 모두 증가했으며, 작년에는 총 외국인 관광객 수가 1202만 명을 기록했음.


      ㅇ 현 추세대로라면 2017년에는 외국인 관광객수가 1500만 명 달성이 가능할 것이며, 2020년에는 2000만 명이 될 것으로 추산하고 동시에 2017년 내국인 관광객 수는 2억650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

     

    인도네시아 유입 관광객 수 추이(2012~2016년)

                                                                                                                                                (단위: 백만 명, 백만 달러)

    연도

    외국인 관광객

    내국인 관광객

    관광객 수

    매출

    관광객 수

    매출

    2012

    8.00

    9.12

    245.29

    16.09

    2013

    8.80

    10.05

    250.04

    17.29

    2014

    9.40

    11.16

    251.2

    17.78

    2015

    10.41

    12.23

    255.05

    21.39

    2016

    12.02

    12.44

    260

    22.46

    자료원: 관광부


      ㅇ 인도네시아의 관광지표는 국가 GDP 내 관광산업의 비중, 외화 자금조달 실적, 종사 인력 수, 경쟁력 지수, 외국인 관광객 수, 내국인 관광객 수 등으로 측정하며 2014년 실적 대비 2019년 목표치를 다음 표와 같이 설정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관광 지표

    지표

    2014년 실적

    2019년 목표치

    국가 GDP 내 관광산업의 비중

    9%

    15%

    외화 자금 조달 실적

    140조 루피아(약 105억 달러)

    280조 루피아(약 210억 달러)

    종사 인력 수

    1,100만 명

    1,300만 명

    경쟁력 지수

    70위

    30위

    외국인 관광객 수

    940만 명

    2,000만 명

    내국인 관광객 수

    2억 5,120만 명

    2억 7,500만 명

    자료원: 관광부


    □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육성 정책


      ㅇ 무비자협정

        - 2015년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외국인 투자 및 관광객을 적극 유치하고자 대통령령 No 69/2015을 제정, 47개국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 허용
        - 현재로서는 90개국 국민이 30일 이내는 무비자 입국이 가능해진 상황이며, 1130만 달러의 비자 승인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남.
        - 해당 정책을 통해 매년 외국인 관광객 45만 명 이상의 증가를 기대하고 있으며, 외국인 관광객 1인당 1100~1200달러를 지출하는 점에 미루어 총 약 5억 달러의 매출 증대 또한 기대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호주, 일본, 중국, 한국을 주요 유치 고객으로 간주하고 있음. 이외에는 인도, 남아공, 러시아, 중동 국가를 잠재력이 큰 시장으로 간주하고 있음.
        - 무비자 협정 체결에 이어, 정부는 무비자 입국이 가능한 관광객을 위한 출입국 신고 장소의 시설을 개선하기 위해 공항에 19개, 항구에 29개 등 총 48개의 출입국 신고 가능 장소를 신설할 예정   


      ㅇ 10대 주력 육성 관광 명소의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 10대 주력 육성 관광 명소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투입되는 총 투자금액은 200억 달러이며 100억 달러는 정부 자금, 100억 달러는 민간 투자자금으로 예상됨.


    10대 주력 육성 관광 명소 인프라

    관광 명소

    상세 내용

    또바 호수(Lake Toba)

    - 투자규모: 10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10억 달러

    딴중 끌라양(Tanjung Kelayang)

    - 투자규모: 16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5억 달러

    딴중 르숭(Tanjung Lesung)

    - 투자규모: 50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10억 달러

    끄뿔라우안 스리부, 자카르타 구시가지

    (Kepulauan Seribu&Kota Tua Jakarta)

    - 투자규모: 10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10억 달러

    보로부두르 사원(Borobudur)

    - 투자규모: 15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20억 달러

    브로모-뜽으르-스므루

    (Bromo-Tengger-Semeru)

    - 투자규모: 10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10억 달러

    만달리까(Mandalika)

    - 투자규모: 33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20억 달러

    라부안 바조(Labuan Bajo)

    - 투자규모: 12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5억 달러

    와까또비(Wakatobi)

    - 투자규모: 14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5억 달러

    모로따이(Morotai)

    - 투자규모: 30억 달러

    -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5억 달러

    총계

    - 투자규모 200억 달러, 외화로 유입되는 투자규모 100억 달러

    출처: 관광부, 지역 정부 사이트, 구글 이미지 등


      ㅇ 인도네시아 주변 해양 요트와 크루즈 산업 육성 정책

        - 정부는 외국의 요트와 크루즈에 관련, 국내 운송금지에 대한 새로운 규정을 발표음. 즉, 외국 크루즈와 요트는 딴중 쁘리옥(자카르타), 딴중 쁘락(수라바야), 블라완(메단), 딴중 베노아(발리), 마까싸르 등 5개 항구에서 승객을 태우고 내릴 수 있게 됨. 
        - 출입국 및 세관 사무소, 항만 당국의 행정절차가 간소화으며 1달이 걸리던 항해 허가 신청 절차를 하루 만에 받을 수 있게 음. 또한 정부 당국은 사무라끼(Saumlaki), 암본(Ambon), 꾸빵(Kupang), 따라깐(Tarakan), 라부안 바조(Labuan Bajo), 딴중 빤단(Tanjung Pandan), 블리뚱 (Belitung) 등의 지역에 작은 보트나 요트용 정박지를 신규로 구축할 예정 
        - 게다가 요트의 경우 인도네시아 지역에서의 출항 승인 규정이 폐지됨에 따라 출항을 위해 http://yachters-indonesia.id. 를 통해 간단한 신청절차를 거치면 됨.


      ㅇ 'Wonderful Indonesia' 캠페인

        - 인도네시아 정부는 'Wonderful Indonesia'라는 구호 아래 관광산업육성을 집중 장려하고 있으며 이웃나라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와 경쟁하며 인도네시아만의 긍정적인 이미지 형성과 관광명소 대외이미지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유럽에서는 인도네시아의 구호 'Wonderful Indonesia'를 영국 프리미어 리그와 La Liga 리그의 축구 경기 때도 광고가 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정월대보름이라는 들불축제 기간에 집중 홍보가 되기도 했음.
        - 'Wonderful Indonesia'의 가장 최신 홍보 영상은 2017년 5월에서 6월까지 뉴욕 타임스퀘어 광장 사거리의 대형 옥외게시판을 통해 방영되고 있음. 


    □ 대한국 인도네시아 정부의 관광산업 육성 계획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한국을 주요 관광국으로 간주, 한국과의 교류를 증진시키고자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음. 그 중 발리, 롬복, 마나도와 같은 인도네시아의 여러 관광명소를 한국과 연결해주는 항공편을 늘리려고 함.


      ㅇ 정부 당국은 부산 국제 관광 페어, 세계 일주 페어, 한국 골프 쇼 등의 한국의 관광관련 전시회에 인도네시아를 집중적으로 홍보했음.


      ㅇ 한국인들이 선호하는 관광지는 발리에 이어 롬복으로 집계되고 있음. 인도네시아 정부는 한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바주, 뜽으르-스므루-이젠, 딴중 르숭 해변, 와까또비, 모로따이, 딴중 끌라양, 뿔라우 스리부(1000개의 섬), 그리고 보로부드르 사원을 적극 추천할 예정


      ㅇ 한국 관광객 수는 최근 3년 동안 평균 약 34만3000명을 기록하고 있음. 2016년 전체 외국인 관광객 중 약 2.9%, 상위 10개국 중 약 4.6%를 차지하고 있으며 대 인도네시아 관광객 수 유출 국가 기준 상위 7위 차지


      ㅇ 관광객 수 추이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중국 관광객 수의 추이와 유사하게 2014년 대비 2015년에 관광객 수가 증가했다가 2016년에 소폭 하락


    상위 10개국 3개년 관광객 수 및 한국 관광객 수 조명

    국가

    2014년

    2015년

    2016년

    싱가포르

    1,519,223

    1,571,982

    1,472,767

    중국

    959,231

    1,141,330

    1,452,971

    말레이시아

    1,276,105

    1,247,270

    1,225,458

    호주

    1,098,383

    1,051,141

    1,198,033

    일본

    486,687

    528,465

    513,297

    인도

    23,7990

    293,415

    376,802

    한국

    328,122

    359,468

    343,887

    영국

    230,315

    280,198

    328,882

    미국

    234,117

    263,429

    296,183

    독일

    180,344

    197,937

    231,694

    상위 10위국 총계

    6,550,517

    6,934,635

    7,439,974

    자료원: 관광부


      ㅇ 한국인이 주로 유입되는 5대 공항은 발리, 수카르노 하따(자카르타), 리아우, 주안다(동부 자바), 서부 누사 뜽아라 등으로, 발리와 자카르타가 각각 1위와 2위로 압도적으로 많은 관광객 수를 차지하고 있음.


      ㅇ 발리로 유입되는 한국인 수는 2016년 기준으로 13만8022명으로 전년대비 7.02% 감소했으나, 자카르타로 유입되는 한국인은 2016년 기준으로 12만8869명으로 전년대비 5.71% 증가


      ㅇ 뒤이어 2016년도 리아우의 공항에는 한국인이 6만4938명, 주안다의 공항에는 4513명, 서부 누사 뜽아라에는 2375명이 유입된 것으로 집계됐음.


      ㅇ 한국의 경우 1인당 지출규모가 1055.05달러로 상위 10대 관광국 중 미국, 영국, 독일, 호주에 이어 5위를 기록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한국이 관광산업에 많은 기여를 하는 국가로 관광 주요국으로 지정하고, 관광객 및 사업가 등 한국인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음.


    자료원: 관광부 출구조사 자료(대인도네시아 상위 10개국 기준, 달러)


      ㅇ 관광부는 2017년 3월에 한국 유명 연예인인 이서진, 정유미가 출연한 '윤식당'이라는 프로그램이 방영됐고, 최근 지드래곤, 박유천, 공유, 김우빈 등 아이돌이 발리와 롬복 등을 방문하며 인도네시아의 관광이미지가 한국인들 사이에서 긍정적으로 형성


      ㅇ 또한 사드배치에 따른 중국발 교역 위기의 부대효과 덕분에 2017년에는 인도네시아에서의 한국인 관광 및 방문객 수가 40만 명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 인도네시아가 관광지와 투자지로서 매력적인 이유


      ㅇ 주요 매력 사항

        - 인도네시아는 관광객이 많이 올 수밖에 없는 주요한 관광국가로, 90개국과 관광목적 입국일 경우 30일 이내 무비자 협정을 체결
        - 해양, 생태계, 어드벤처 투어가 가능한 풍부한 자연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랜 역사 동안 지속해온 문화유적지가 많은 것이 가장 큰 매력 포인트라 볼 수 있음.
        - 또한 MICE와 행사와 연계한 관광상품도 매우 발달해 있으며 스포츠 레저 관광 등도 인도네시아에서 특화된 관광산업임.


      ㅇ 숙박 시설 증가

        - 인도네시아 내 호텔, 리조트, 게스트하우스, 홈스테이 등의 숙박 시설 수가 최근 5년 새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의하면 숙박시설이 2012년에는 1만5998개였으나 2016년에는 1만8829개로 약 17.7% 증가한 것으로 집계됨.

     

    인도네시아 5개년 숙박업소 증가 추세

    자료원: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ㅇLCC(저가항공사) 노선 개선 예정

        -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잇는 양국 소속 노선은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가루다항공 등 총 3개 노선이나, 최근 저가항공사인 진에어에서 한국에서 롬복, 북부 술라웨시까지 직항 노선을 개설할 계획임.


    한-인도네시아 주요 항공편

    기존

    기존

    기존

    신규(예정)

    인천-발리, 인천-자카르타

    인천-자카르타

    인천-인도네시아 전역

    인천-롬복

    자료원: 항공사 웹사이트


      ㅇ 관광투자 규제 완화

        - 정부 당국은 인도네시아 경제 특별 구역(KEK)에서의 관광 산업 투자를 특히 장려하고 있으며, 투자의 편의성은 경제 정책 패키지 4호(Economic Policy Package Volume IV)를 통해 정해짐.
        - 인센티브와 완화된 규정은 소득세[pajak penghasilan(PPh)], 부가가치세[Pajak Pertambahan Nilai(PPN)], 사치세[Pajak Penjualan atas Barang Mewah(PPnBM)], 관세, 외국인 부동산 소유권, 고용, 출입국(이민), 라이선싱 등과 관련돼 있으며 관광산업 포함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해 투자 장벽을 낮추려 하고 있음.
        - 실제적으로 정부의 노력과 관광객 유입 등으로 인해 2014년의 관광 투자 실적이 9억3920만 달러였으나, 2015년에는 관광 투자 실적이 10억5000만 달러로 2014년도 대비 1억 달러 이상 증가, 약 11.8%가 증가하는 어마한 투자 성과를 창출


      ㅇ 기타 

        - 정부는 관광산업 육성과 투자유치를 위해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인프라 개발을 적극 장려 중이며, 2017년도 달러 대 루피아 환율이 1만3300루피아 언저리로 유지되는 환율 안정성으로 관광객 유입과 투자 진출이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함.
        - 직업훈련을 통해 검증이 완료되거나 고등전문학교를 졸업한 관광업 종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관광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
     


    □ 외국인으로서 인도네시아 관광지 투자 사업 가능성


      ㅇ 관광지로의 투자 진출은 대통령령 44/2016에 따라 이행돼야 하며, 국내 지분율 관련 규정 및 네거티브 리스트(투자 제한 업종)이 포함돼 있음.


      ㅇ 2014년의 네거티브 리스트는 관광 산업과 관련된 식당, 바, 카페, 수영장, 축구장, 테니스코트, 헬스장(피트니스 센터), 스포츠 센터, 각종 스포츠 시설, 영화관, 필름현상소, 영화 더빙 장비, 필름 복사 시설, 영화 생산, 녹음 및 음반작업실, 영화 유통업 등을 리스트에 등재하고 투자 법인에 대한 외국인 투자 지분을 49%에서 51%까지만 인정했음.


      ㅇ 그러나 2016년에 해당 네거티브 리스트 상 관광산업 관련 위 업종에 대해 100%의 외국인 투자지분을 인정하는 것으로 투자법이 변경됨.


      ㅇ 그러나 정부는 아직까지도 일부 관광산업 업종 등에 대해 외국인 투자 지분을 67%에서 70%까지만 제한을 두고 있으며, 이는 보호하거나 육성해야 할 내수 업종으로 동 업종 관련 현지 기업과의 합작 법인 설립이 불가피함. 


    관광업종 관련 투자 규제(외국인 투자 지분 제한) 네거티브 리스트

    업종 분류

    2016년 네거티브 리스트

    박물관 운영

    ASEAN 외 국가: 67%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ASEAN 회원국: 70%

    MICE(Meeting, Incentive, Conference, and Exhibition)

    여행중개업

    케이터링 서비스

    모텔

    당구장

    볼링장

    골프장

    예술 기획 서비스

    사원, 유적지, 유물 등의 관광 명소 운영

    67% 외국인 투자지분 제한

    자료원: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


      ㅇ 인도네시아에서의 외투법인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에 반드시 신청해야 하며, 만일 외투법인 설립을 원하지 않으면 이미 존재하고 있는 외투법인이나 현지 기업(PT)을 인수해야 함.


      ㅇ 외투법인을 설립하기 위해서는 최소 투자자본 100억 루피아(약 80만 달러) 혹은 이에 상응하는 달러화를 가지고 투자해야 함.


      ㅇ 인도네시아 정부는 소규모의 현지 기업을 보호하면서 외국으로부터 큰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투자자들에게 높은 요구 수준 존재


      ㅇ 납입 자본은 최소 자본금(25억 루피아 또는 20만 달러)의 25%이며 일부 특정 산업들에 대해서는 납입 자본 관련 요구사항이 까다로운 편임.


      ㅇ 그러나 실제적으로 외국 투자법인은 인도네시아 은행 계좌로 납입자본금을 송금하지 않은 채로 설립되고 있으나, 원칙상은 이런 경우를 허용하지는 않음.


      ㅇ 투자와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대통령령을 준수해야 하며 또한 자치주가 정한 지역 법령도 동시에 준수해야 함.


      ㅇ 예를 들면, 영화산업의 경우 정부는 외국인 투자가에게 문을 활짝 개방했으나 발리는 영화관 간 거리가 최소 5km 이상 떨어져있어야 한다고 규정하며, 수라바야는 영화 스케줄과 가격을 제한


      ㅇ 발리에서의 호텔 높이 또한 제한돼 있으며 표고*가 15m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돼있음. 같은 5성급 호텔 체인점이라도 발리에서의 호텔은 낮게 넓게 퍼져있는 독특한 양상을 볼 수 있음.

        * 표고: 표고의 기준이 되는 수평면인 수준기준면으로부터 지표 위 어느 점까지의 연직거리


    □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투자 기회 및 유망 업종


      ㅇ 숙박업


    인도네시아 발리 풀빌라

    자료원: agoda.com


        - 호텔산업의 경우 인도네시아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인이 많이 찾는 발리와 자카르타의 호텔은 여전히 호텔산업 주요 성장 동력이 되고 있음. 그러나 최근들어 외국 기업의 진입 시도가 많아서 진입 장벽이 예전에 비해 높아진 경향이 있음. 
        - 발리의 경우 2014년에 69%였던 평균 객실 점유율이 2015년에는 62%로 하향, 2016년에는 59%로 감소했는데, 이는 이미 발리에 진출한 호텔이 과포화상태임을 나타냄.
        - 그럼에도 한국인이 즐겨찾기 시작하고 정부가 육성하려는 관광명소를 포함해 롬복, 마나도, 딴중 르숭, 딴중 깔라양, 모로따이, 라자암빳, 또바 호수 등은 아직 호텔 시설이 많이 갖춰지지 않아 오히려 정부가 호텔 시설에 투자를 적극 유치하려 하고 있음. 


    대인도네시아 숙박업 투자 진출 전 유의사항

    호텔과 리조트 입지를 정하기 전 충분한 시장조사 필요

    국가와 현지 법의 일치 정도를 살펴볼 것

    - 창의적인 호텔 테마 기획(예를 들면, 발리의 우붓 지역에 있는 호텔에는 숙소에 머물며 코끼리를 타 볼 수 있는 사파리형 리조트가 존재함. 스미냑 지역 등에는 해변가와 바로 연결된 휴양형 호텔이 있음)


      ㅇ 영화관, 볼링, 스포츠 레저, 박물관


    인도네시아 관광휴양지 대표 스포츠 레저 활동, 스노클링

    자료원: Indonesia-Tourism.com


        - 인도네시아 중산층 이상의 계층이 증가함에 따라 사람의 소비수준이 높아지고 이에 영화관, 볼링 등 문화 생활 지출이 증가하는 등 삶 전반의 형태도 변해가고 있음. 외국인의 경우 영화관보다는 인도네시아의 자연 풍경을 만끽하며 해양 스포츠 등 스포츠 레저를 즐기고 싶어함.
        - 그러나 아직까지 인도네시아에는 영화관, 볼링, 스포츠 레저, 박물관 등의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풀패키지로 제공하는 형태의 사업이 존재하지 않으며, 해당 풀패키지 사업 건으로 현지 진출 시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됨.


      ㅇ 식음료 업종(외식산업)


    인도네시아 관광지 해변 식당에서 파는 현지 음식

    자료원: Pinterest


        - 관광지에서의 식음료 업종 투자 건은 윤식당이 반영된 후 다른 관광 산업 투자에 비해 KOTRA 자카르타 무역관으로 문의가 꾸준히 오는 업종임.
        - 식음료 업종(F&B)은 어느 지역이든 호텔 등 숙박시설 인근에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는 업종이나, 이미 식당 및 음료 관련 점포들이 많이 진출해 시장 경쟁이 높은 편임.
        - 그러므로 사업 운영자는 공략하고자 하는 시장과 소비자 성향에 대해 면밀히 분석해 창의적인 프로모션 전략을 내세워야 할 것
        - 창의적인 프로모션 전략에는 레스토랑을 어떤 콘셉트로 가져가야 하는가에 대한 부분뿐만 아니라, 메뉴 구성에 대해서도 창의적으로 생각해야 함. 이는 외국인과 인도네시아 현지인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메뉴를 구성해야하기 때문임. 현지 특산 요리가 관광객들 사이에서 인기가 좋으나 동시에 파스타, 스테이크, 햄버거 등과 같은 서양식 요리도 인기가 높은 편임. 
        - 아시아 요리도 수요가 높은 편이며 태국과 일본식 요리가 아시아 요리를 대부분 점유하고 있지만, 한국 요리는 현재 시장 점유율에 비해 소비자의 선호도 및 관심이 높아 진출이 유망한 분야임. 식당의 요리 뿐 아니라 카페의 아이스크림, 케이크, 와플 등으로 디저트 메뉴로도 관광객들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아이스크림 메뉴가 특히 인기가 좋음.
        - 바(Bar)에 대한 수요도 갈수록 높이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투자를 신중히 고려해야 함. 인도네시아 인구의 대부분이 무슬림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마을 공동체 및 지역법들이 이슬람법에 근거한 규율을 지역사회에 적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임.   
        - 특히 롬복의 경우는 무슬림이 지배적인 지역으로 할랄 투어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바의 설립과 활동이 제한적인 편이나, 발리와 마나도의 경우 무슬림이 지배적이지 않은 지역으로 선술집 등 바 사업에 개방적임.    


      ㅇ 여행중개업

        - 인도네시아 관광산업의 약점은 여행에 필수적인 인프라와 지역 교통시설이 좋지 않은 점이나 인도네시아 현지인에게 아직까지 크게 불편한 점은 없다고 하나, 외국인 관광객의 사정은 현지인과 다름.
        - 이미 잘 개발된 대도시 및 관광지 외의 지역에서는 현재의 인프라에 불편감을 크게 호소하고 있으며 인프라 개발 예정인 정부 지정 10개 관광명소를 중심으로 이러한 애로 사항을 해소해 줄 여행 중개소, 즉 여행 사무소 업종이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
        - 아직까지는 여행 중개 시스템이 개인적으로 현지인끼리 통해 알선 정도로 차편, 숙박편이 연결되는 경우가 많아 전문적이지 않아, 외국인 관광객에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 분야로의 투자 진출은 유망 


    □ 시사점 및 유의 사항


      ㅇ 2017년 5월 30일 자 현지 주요 신문 Kompas*에 의하면, 정부가 10대 정부 지정 관광지 주변 인프라, 편의 시설 개발을 위해 각 관광지 당 정부예산을 2018년까지 500억~1000억 루피아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함. 해당 예산은 도로, 수도, 지역정비, 식수, 쓰레기 처리, 하수처리사업 등에 사용될 예정이며 10대 관광지에는 롬복 남부해변가, 보로부두르 사원, 호수 등이 포함돼 있다고 함.

        * Kompas: 한국 조선일보와 같은 인도네시아 메이저 신문사


      ㅇ 또한 해당 언론사는 같은 일자로 7~8월 인천-롬복 간 임시 항공편(Charter Flight) 5편이 신설 예정임을 보도했음.


      ㅇ 인도네시아 정부의 노력 및 항공편 신설 등 인프라 구축이 하루가 다르게 업데이트되고 있어 인도네시아 관광시장은 관광객과 투자가 모두의 입장에서 매우 매력적인 시장임.


      ㅇ 대부분 인도네시아 사람들은 새롭고 독특한 것을 좋아하는 경향이 있으며 한국인과 비슷하게 유행의 흐름에 동참하는 것을 즐기는 경향이 있음.


      ㅇ 따라서 SNS의 역할이 인도네시아에서는 특히 중요하며, 이를 이용해 사업을 공격적으로 홍보하면 홍보 활동이 매출로 직결되는 경우가 많음. 특히 여행 중개업, 숙박업, 요식업 등 관광산업 관련업종의 경우 이미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경로를 통해 과도하다 싶을 정도의 광고활동이 성행하고 있음.


      ㅇ 또한 한국 연예인이 방문했던 지역은 한국인 뿐 아니라 현지 팬들도 방문할 정도로 한국 연예인이 인도네시아 관광산업 투자유치 부문에서 기여도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ㅇ 인프라뿐 아니라 윤식당과 같은 외식업 분야도 아직까지 한국인이 많이 모여사는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이제 개발이 예정된 관광명소에는 한국 요리의 명성에 비해 한국 식당 진출이 많지 않아 사업 진출 가능성이 있을 것


      ㅇ 그러나 윤식당처럼 순탄하게 인도네시아 관광지에서 식당을 차리면 성공할지에 대한 예상 분석에는 많은 심사숙고가 필요한 상황


      ㅇ 투자법뿐 아니라 관광산업 관련 업종 투자 관련 지역의 별도 법령이 존재하는지, 그 지역의 문화나 사람들의 속성은 어떠한지, 현지인이 어떠한 맛을 좋아하는 지, 어느 국가의 관광객이 식당을 차리고자 하는 지역에 많이 유입되고 있는지, 식당을 설립하고자 하는 지역의 인프라(전력, 가스, 교통 등)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사전에 파악한 후 사업 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음.   


      ㅇ 즉, '윤식당, 과연 나도 성공할지'에 대한 여부는 많은 고민과 걱정에서 시작하길 권장함.


      ㅇ 스크린에 보여지는 아름다운 모습 뒤에는 사업 운영자의 눈물섞인 노력이 투입돼야 하며, 그 전에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해 철저한 사전 대비와 현지 정부 기관 문의, 시장성 검토, 법률 및 회계 자문 등을 통해 결정이 돼야 함.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