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탄자니아, 화훼산업의 잠재력 주목
    World Wide 2017. 6. 9. 15:05
    반응형
    탄자니아, 화훼산업의 잠재력 주목
    2017-06-09 전우형 탄자니아 다레살람무역관

    - 재배 환경은 주요 수출국 케냐와도 손색 없어 - 
    - 저렴한 노동력과 EU 수출관세 혜택 향유 가능 -

     


     
    □ 탄자니아 화훼산업 현황
     
      ㅇ 2015년 수출액 기준 아프리카 내 5번째 규모             


    국가

    수출액(천 달러)

    케냐

    741,512

    에티오피아

    737,485

    남아프리카공화국

    55,675

    우간다

    51,650

    탄자니아

    43,594

    자료원: ITC, International Trade Statistics 2015


      ㅇ 주요 생산품목
        - 장미, 국화, 카네이션, 레이스 플라워(아미초), 등대풀 등이 주요 생산품
        - 장미는 크기, 색깔, 개화 정도, 운반성, 생명력 등에 따라 20종류 이상이 생산되고 있으며 전체 생산품 중 75%를 차지

      
    external_image
    주: (첫째 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장미(Rose), 국화(Chrysanthemum), 

    등대풀(Euphorbia), 레이스플라워(Ammi Majus), 카네이션(Carnation)


      ㅇ 주요 생산지역

     

    지대

    지역

    위치

    기후

    고도

    강수량(연 강수일)

    온도

    습도

    북부

    고산지대

    아루샤·

    킬리만자로

    3°22'S 36°41'E

    아열대 고산지대

    (Cwb)

    1,400m

    1,230mm(51)

    10~25°C

    71%

    남부

    고산지대

    음베야

    8°54'S 33°27'E

    아열대 고산지대

    (Cwb) 

    1,700m

    850mm(55)

    11~23°C

    68%

    이링가

    7°46'S 35°42'E

    아열대 고산지대

    (Cwb) 

    1,550m

    740mm(50)

    13~25°C

    62%

    은좀베

    9°20'S 34°46'E

    아열대 고산지대

    (Cwb)

    1,900m

    1,150mm(129)

    12~23°C

    71%

    중부

    고원지대

    도도마

    6°10'S 35°44'E

    반건조기후(Bsh)

    1,120m

    560mm(42)

    16~28°C

    62%

    싱기다

    4°49'S 34°45'E

    반건조 (Bsh)

    1,500m

    710mm(124)

    14~26°C

    66%

    자료원: Weather Base 


      ㅇ 생산회사 및 연관산업 현황
        - 탄자니아 주요 화훼생산 회사로는 Kiliflora, Tanzania Flowers, Tengeru Flowers, Hortanzania, Horticulture Farms, Mount Meru Flowers, La Fleur d'Afrique 등이 있음. 
        - 탄자니아 북부 고산지대에 위치한 아루샤는 공항(TZ 킬리만자로 국제공항, KN 조모 케냐타 국제 공항)과 인접해 있고, 화초 재배에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농장이 이곳에 소재함,
        - 탄자니아에서 생산된 꽃은 주로 네덜란드로 수출
        - 화훼생산으로 플로리스트, 포워딩회사, 소매상, 꽃 배달 등 관련 산업이 파생되고 있음.
     

      ㅇ Mount Meru Flowers사
        - 아루샤, 메루산 근처에 위치하고 종업원 수는 300여 명
        - 장미를 전문적으로 기르는 약 35헥타르 규모의 농장으로 총 29종류의 장미와 곁가지(Fillers) 생산
        - 온실을 이용해 공기를 순환시키고 기온 및 습도를 조절
        - 물과 비료를 섞는 관비법 이용
        - 장미 분류 및 운송 시 냉장시설 가동 


    external_image
    자료원: Mount Meru Flowers 홈페이지


      ㅇ 다레살람  화초시장 동향
        - 다레살람 화초시장 중 하나인 오이스터 베이(Oyster Bay) 꽃 시장 모습
        - 28개의 상점으로 이루어져 있음.

       

    오이스터베이 꽃 시장 전경 

    external_image
      

        - 장미, 카네이션을 주로 취급
        - 공급지는 KN 나이로비, TZ 아루샤, 은좀베, 이링가 등으로 다양하나 대부분의 꽃이 나이로비에서 육로로 입고
        - 나이로비 장미는 아루샤산보다 크기가 크고 비싸나 고객 수요는 큰 장미에 집중
        - 1개 상점당 평균적으로 하루에 40~50명의 고객이 방문
        - 각 상점에서는 손질, 분류, 장식, 포장, 배달을 겸하면서 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임. 
     

     external_image
       

        - 공급지 직송 '가공하지 않은 화초가격'은 장미 한 다발(20송이 가량)에 3000탄자니아 실링, 카네이션 한 다발에 6000탄자니아 실링

        · 3000탄자니아실링 = 약 1500원
        - '손질 및 장식된 상품'은 2만~10만 탄자니아 실링까지 가격대가 다양 
     

    □ 수출강국 케냐의 화훼산업
     
      ㅇ 절화(Cut Flower) 수출 세계 3위 자랑  

    Capture.JPG
    자료원: Rabobank 2016 

      
        - 절화 시장점유율이 2005년 5%에서 10년 만에 11%로 증가해 세계 3위로 부상
        - 전체 수출량의 3분의 2가 네덜란드로 수출되며 EU시장 절화 35%가 케냐산
        - 2015년 화훼상품 수출액이 약 7억 달러에 달해 국가 전체 수출의 5분의 1을 담당
        - 2015년 기준 127개 회사, 50만 명 이상이 화훼산업에 종사
        - 아프리카 화훼산업의 최강국으로 다른 인접국에 전문가들을 파견하고 있음.
      
      ㅇ 성공 요인 
        - 적도(낮길이가 일정하고 온도차가 적음)에 자리잡고 있어 꽃이 자라기 좋은 천혜의 환경 
     

    세계 화훼 수출지도(EU내 수출입 제외)

    세계 화훼 수출지도(Trade flows of flower bulbs, cut flowers, cut foliage and other living plants,,,excluding intra-EU).JPG
    자료원: Rabobank 2016


        - 유럽시장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나이로비공항에서 직항으로 연결 가능해 제품 신선도 유지와 가격을 낮추는데 결정적인 영향 
        - 공항 내 채소와 꽃을 전문적으로 운송하기 위한 터미널과 화물시스템이 존재 
        - 나이바샤 호수 근처에 화훼농장들이 집약적으로 형성 
        - 효율적인 국가정책과 위원회(Kenya Flower Council)의 뒷받침
      
    □ 탄자니아 žvs  케냐 화훼산업 비교
      
      ㅇ 수출액 기준으로 탄자니아는 케냐와 큰 차이 보임. 
        - 2015년 화훼 수출액이 케냐는 약 7억3000만 달러, 탄자니아는 약 4000만 달러로 17배 차이가 남.
      
      ㅇ 탄자니아 화훼산업의 긍정적 요소 
        - 저가의 노동력
        - 케냐의 불안정한 정치 상황으로 산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나 탄자니아는 비교적 안정적임.
        - 포화상태의 케냐시장에 비해 탄자니아는 아직 업체 간 경쟁이 심하지 않음.
        - 케냐의 대EU 수출 화훼상품은 10% 관세 부과, 최빈국 탄자니아는 EU EBA(Everything But Arms)정책으로 인해 면세 
     

      ㅇ 탄자니아 화훼산업의 부정적 요소
        - 항공운송 시스템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물동량이 적고 시간 소요 과다
        - 화훼산업에 대한 국가적 관심 및 위원회의 지원 부족
        - 나이바샤지역에 대규모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케냐 대비 탄자니아는 생산량 확충 또는 필요한 정보 획득 어려움.
      
    □ 시사점
     
      ㅇ 화훼산업은 적도근처 국가들의 약진
        - 탄자니아 포함, 적도 근처 국가들은 꽃을 재배하는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어 산업 발전에 유리
        - 최근 에티오피아 화훼산업의 꾸준한 성장은 다른 동아프리카 국가들의 발전 가능성을 시사
        - 이는 르완다, 우간다, 탄자니아 정책 결정자의 주의를 끌고있음.
      
      ㅇ 관련 선진기술의 도입으로 생산량이나 품질을 높일 잠재력 보유
        - 현지 기술력 부족으로 우리 화훼기술이 현지 생산자에게 충분히 어필할 것으로 전망
      
      ㅇ 아직까지 블루오션인 탄자니아시장
        - 해외뿐만 아니라 탄자니아 국내 꽃 수요도 늘어나는 추세에서 공급자는 비교적 적은 편
        -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가능성 높음.
        - 장식, 배달과 같은 관련 부가산업도 점차 성장할 전망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