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세계 3위 규모의 중국 미용의료 시장현황World Wide 2021. 3. 18. 10:06
세계 3위 규모의 중국 미용의료 시장현황 2021-03-16 중국 칭다오무역관 이맹맹 - 비수술 미용시술 선호하며 모발 이식에 따른 남성 소비가 더 커 - - 앞으로 미용시술의 라이브커머스 판매 증가 예상 - 중국 의료미용 시장 꾸준히 성장 2015년부터 중국의 의료미용산업 시장 규모는 줄곧 고속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8년 말 중국은 세계 제3위의 의료미용시장으로 부상했다. 2019년 중국 의료미용 시장 규모는 1769억 위안에 달하고 2023년에는 시장 규모가 3115억 위안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2-2019년 중국 의료미용 산업 시장 규모 (단위: 10억 위안) 자료: 치엔잔왕(前瞻网) iiMedia Research에 따르면, 2018년 740만 명이던 중국의 의료미용시장 고객..
-
중국 실용신안,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이유World Wide 2021. 3. 17. 21:12
[기고] 중국 실용신안, 우리 기업에 꼭 필요한 이유 2021-03-16 중국 베이징무역관 김성애 이종기 지사장, China Science(中科) 특허법인 한국지사 중국 실용신안권 유무의 차이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 중국 실용신안은 중국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에는 꼭 필요하고 매우 유용한 제도이다. 중국 실용신안조차 없이 중국에 진출했다가 결국 철수할 수 밖에 없었던 우리 기업과 중국 실용신안을 통해 시장을 장악해 나간 중국 기업의 사례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몇 년 전, 한국의 A 중소기업이 장갑을 낀 채로 휴대폰 화면을 넘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업체는 이 장갑을 중국 타오바오를 통해 중국에 판매했고 소비자 반응이 상당히 좋았고 판매량도 급증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중국..
-
미국 상원, ‘메이드 인 아메리카’ 라벨 표준 개정법 제안World Wide 2021. 3. 17. 21:12
미국 상원, ‘메이드 인 아메리카’ 라벨 표준 개정법 제안 2021-03-16 미국 뉴욕무역관 임소현 - 하나의 연방 'Made in USA' 라벨링 표준 수립 - - 주별로 상이한 추가 규정 삭제함으로써 혼란과 불필요한 법률 비용 방지 - 미국 정부조달 시 자국산 제품을 우대하는 ‘바이아메리칸’ 정책이 강화되고 핵심산업 공급망 개선 행정명령을 발표하는 등 미국 시장에서 ‘Made in USA’ 라벨을 부착한 상품의 위상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Made in USA’ 라벨링 규정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에서 규제하나 각 주 정부에서 서로 다른 추가적 조항을 덧붙임으로써 기업들에 혼란과 불필요한 법률 비용을 초래해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미국 상원에서는 ‘Made in USA’ 라벨에 대한 연..
-
글로벌 디지털 도시로 거듭나는 상하이World Wide 2021. 3. 16. 11:52
글로벌 디지털 도시로 거듭나는 상하이 2021-03-16 중국 상하이무역관 김다인 - 중국 경제 사회 전면 디지털 전환 가속화 - - 경제중심지 상하이의 디지털 전환 동향과 주요 기업 사례를 토대로 벤치마킹 필요 - 2020년 코로나19 여파로 글로벌 산업망 공급망 체계가 큰 영향을 받고 생산과 투자, 무역이 크게 위축되면서 세계 경제의 하방 압력이 거세졌다. 전 세계적 위기 상황을 맞이하며 오히려 산업경제 전반의 온라인 및 비대면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졌고 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AI)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기술이 경제사회 전 분야로 빠르게 적용되는 전환 사회로 거듭나고 있다. 중국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고 디지털 사회로의 전면적인 전환을 위해 신인프라 투자 확대 계획을 발표했다. 20..
-
디지털 전환으로 위기를 극복한 덴마크 중소기업 사례World Wide 2021. 3. 16. 11:51
디지털 전환으로 위기를 극복한 덴마크 중소기업 사례 2021-03-16 덴마크 코펜하겐무역관 홍두영 -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활용해 디지털 전환 성공 - - 기업의 생존을 위해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 - 덴마크 산업 연맹(Confederation of Danish Industry)에 따르면 덴마크는 세계에서 디지털화의 세계적인 추세를 따를 준비가 가장 잘 돼 있고 사회 전반적으로 이미 디지털화가 상당히 발전된 국가라고 한다. 또한 덴마크의 탄탄한 사회복지정책과 안정된 정치환경, 유연한 노동시장 풍토 등도 디지털 전환에 있어서 덴마크의 강점이다. 이러한 덴마크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덴마크 현지 폐기물 처리 기업 노레코(Norreco)의 CIO 피터 벳쳐(Peter Bøttc..
-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라, 명품 시장 기회의 땅 베트남World Wide 2021. 3. 13. 12:35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라, 명품 시장 기회의 땅 베트남 2021-03-12 베트남 하노이무역관 한아름 - 2024년까지 베트남의 백만장자는 4만 2,324명, 3천만 달러 이상 자산가는 753명이 될 것으로 전망 - - 호찌민·하노이 양대 도시 위주, 명품 시장의 주 고객은 밀레니얼 세대 - 베트남의 고소득층 현황 1986년 도이머이(Đổi mới) 개혁 정책에 따라 경제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베트남은 저소득 국가에서 중 저소득국가에 진입했다. 2002년부터 2018년까지 베트남의 1인당 명목 GDP는 2.7배 증가했으며 2019년에는 2,700달러에 이르렀다. 세계은행은 2019년 기준 베트남의 중산층은 전체 인구의 약 13%이며 2026년까지 베트남 인구의 26%가 중산층에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
프랑스, 수소 프로젝트 최근 동향World Wide 2021. 3. 11. 10:44
프랑스, 수소 프로젝트 최근 동향 2021-03-09 프랑스 파리무역관 곽미성 - 친환경 수소연료 생태계 구축 본격 추진 - - 에너지, 자동차, 항공 등 주력산업 전반에 확산 - 프랑스도 코로나19 경제 위기를 타개하는 방편으로 그린 프로젝트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염두에 둔 수소 에너지 개발과 보급 확대가 국가 에너지 체계 대전환의 중심에 있다. 팬데믹 종식의 희망이 싹트고 있는 현 시점에, 친환경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수소연료 생산, 그리고 청정 수소 연료의 주력산업 전반에 적용을 골자로 하는 프랑스 주요 수소 프로젝트의 추진이 탄력을 받고 있다. 프랑스 정부, 10년간 70억 유로 투입 예정 프랑스 정부는 2020년 9월 발표한 청정 수소 국가전략에서 향후 10년간 수소 에..
-
재도약 기대하는 미국 스포츠웨어 시장World Wide 2021. 3. 11. 10:44
재도약 기대하는 미국 스포츠웨어 시장 2021-03-09 미국 뉴욕무역관 김동그라미 - 2020년 시장 규모 전년비 20% 위축 - - 백신접종, 대형 스포츠 이벤트 재개로 회복 기대 확산 - 지난해 코로나19로 미국 스포츠웨어 시장 성장에 급제동이 걸렸다. 스포츠웨어 시장은 미국인의 건강 관심도 증가와 에슬레저 패션트렌드의 급부상으로 지난 수년간 빠른 속도로 성장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적 록다운이 시행되고, 헬스장 운영 등이 제한되면서 스포츠웨어 판매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미국 스포츠웨어 시장 동향 지난해 미국 스포츠웨어 시장 규모는 1012억 9010만 달러로 전년대비 19.7% 위축됐다. 코로나19로 스포츠웨어 소매점의 운영이 중단되거나 단축되고, 소비자들이 바깥 외출을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