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ld Wide
-
새해 맞아 중국 수입화장품 잇따른 가격인하 열풍World Wide 2017. 1. 13. 14:09
새해 맞아 중국 수입화장품 잇따른 가격인하 열풍2017-01-13 이맹맹중국칭다오무역관- 에스티로더와 아모레퍼시픽의 잇따른 가격인하 –- 작년 중국 소비세 조절 영향 미친 것 - □ 배경 ㅇ 2015년 6~7월 중국 수입화장품 가격인하 열풍에 이어 2017년 초 또 한번의 가격인하 열풍이 불고 있음. ㅇ 2017년 신정기간, 미국 에스티로더와 한국 아모레퍼시픽은 2017년부터 화장품 중국 소매가격을 인하해 중국 수입단계 소비세 조정에 대응한다고 발표함. □ 브랜드별 가격인하 현황 ㅇ 아모레퍼시픽 - 한국 최대 화장품 기업인 아모레퍼시픽 중국은 중국 정부의 ‘화장품 수입단계 소비세 조정에 관한 공지’에 맞춰2017년 1월 15일부터 라네즈,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설화수 4개 브랜드 327개 제품의 중..
-
美 특허청의 상표등록 거절 사유World Wide 2017. 1. 13. 14:09
美 특허청의 상표등록 거절 사유2017-01-12 한유림미국뉴욕무역관 □ 상표 등록을 위한 일반 개요 ㅇ 상표의 가장 근본적인 기능 중 하나는 특정 상품을 다른 제조자가 만든 상품과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해당 상품의 출처에 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해줄 수 있는 출처 표시 기능임. ㅇ 상표 등록을 위해서는 우선 등록하고자 하는 상표를 이미지로 등록할지, 문자로 등록할지 또는 이미지를 포함한 문자로 등록할지 결정해야 함. ㅇ 미국의 경우, 상표가 특허청에 등록돼 있지 않더라도 해당 상표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이 있다면 해당 지역에서 상표 사용자가 그 상표에 대한 우선권을 가지게 됨. ㅇ 이에, 상표가 제대로 등록이 되기 위해 필요한 사전 유사 상표 검색을 할 때에는, 특허청에 등록돼 있는 동일/유사 상..
-
홍콩의 전시컨벤션산업 현황 및 2017년 주요 전시회World Wide 2017. 1. 13. 14:09
홍콩의 전시컨벤션산업 현황 및 2017년 주요 전시회2017-01-12 이경남홍콩홍콩무역관- 홍콩행정부, 전시컨벤션산업 발전 위한 다양한 정책 시행 -- 홍콩의 대표적 전시회, 2017년에도 계속 - □ 홍콩 전시컨벤션산업 개요 ㅇ 세계 제8위의 교역규모를 가지고 있는 무역중심지인 홍콩은 자유무역항, 항공교통 요충지 등의 이점을 기반으로 아시아지역의 전시컨벤션 허브로서도 기능하고 있음. ㅇ 홍콩의 전시컨벤션 인프라로서는 홍콩섬 완차이에 위치한 홍콩전시컨벤션센터(HKCEC) 및 공항 인근에 위치한 아시아월드엑스포(AWE), 그리고 카우룬베이에 위치한 홍콩국제무역전시센터가 있음. ㅇ 홍콩은 2014 Business Traveller Asia-Pacific Travel Awards에서 ‘Best Busines..
-
日, 두피관리도 집에서…고가 헤어 드라이어 인기World Wide 2017. 1. 13. 14:09
日, 두피관리도 집에서…고가 헤어 드라이어 인기2017-01-12 조은진일본오사카무역관- 가전기업, 고부가가치 헤어 드라이어 잇따라 출시 -- 전문가 평가 등 입소문, 실제 체험이 판매에 미치는 영향 커 - □ 고가품 등장으로 확대 중인 일본 헤어 드라이어 시장 ㅇ 일본 GfK에 따르면, 최근 1만 엔(약 10만 원)을 초과하는 고부가가치 헤어 드라이어가 등장해 인기를 끌고 있음. - 그간 헤어 드라이어는 단순히 머리를 말리는 기능을 가진 제품이 주력제품이어서, 1만 엔 초과 제품의 판매 비중은 2014년까지만 해도 10% 정도에 그침. - 그러나 2015년에는 판매량의 19%를 차지하면서 금액기준 헤어 드라이어 시장이 25% 확대되는 데 일조 - 2016년 (1~5월) 가전 양판점 헤어 드라이어 판매는..
-
2017년 일본 경제 2대 화두는 ‘트럼프 노믹스’, ‘일하는 방식 개혁’World Wide 2017. 1. 13. 14:09
2017년 일본 경제 2대 화두는 ‘트럼프 노믹스’, ‘일하는 방식 개혁’2017-01-12 조은진일본오사카무역관- 트럼프 노믹스, 환율·수출·기업 투자에 영향 미치는 양날의 검 -- 일하는 방식 개혁으로는 생산성 향상 및 소비 활성화 도모 - □ 2017년 일본 경제, 완만한 개선 전망 ㅇ 일본 내각부는 2016년 1.3%에 이어 2017년에는 실질경제성장률이 1.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2016년 8월에 결정된 28조 엔 규모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등 각종 정책 추진으로 고용 및 소득환경이 지속 개선되면서 민간 수요 중심의 경기 회복 예상 2017년 일본 실질 GDP 성장률 및 기여도 전망 (단위: %)자료원: 내각부 ㅇ 주요 업계 대표 전망 - (코베 제강, 제강) 자동차 산업이 견조한 성장세를..
-
카지노 법안 성립으로 경제 활성화를 꿈꾸는 일본World Wide 2017. 1. 13. 14:08
카지노 법안 성립으로 경제 활성화를 꿈꾸는 일본2017-01-12 김광수일본도쿄무역관- 카지노 법안, 2016년 12월 15일 참의원 통과로 성립 -- 도박 의존증 대책 명시와, 시행 후 5년 이내 재검토 수정 조항 포함 - - 카지노 해금 법안 성립으로 2020년 도쿄 올림픽 관광사업 부흥 기대 - □ 카지노 해금 법안, 2016년 12월 15일 성립 ㅇ 카지노를 포함한 복합리조트법(IR)의 정비를 정부에 촉구하는 의원 입법「카지노 해금 법안」이 12월 13일 참의원 내각위원회에서 자민당과 일본 유신의회의 다수 찬성으로 가결 - IR(Integrated Resort)이란 싱가포르 등 아시아 각국에서 도입하는 카지노, 국제회의장, 전시장, 레크레이션시설, 숙박시설, 문화시설로 구성된 복합시설임. - 현재..
-
2017년도 일본 경제 전망World Wide 2017. 1. 13. 14:08
2017년도 일본 경제 전망2017-01-12 송혜주일본후쿠오카무역관- 실질GDP 성장률 1.5%, 명목성장률 2.5% 전망 -- 민간소비 중심의 내수위주 성장, 수출도 완만한 증가세 - □ 일본 정부, 2017년도 실질 GDP 성장률 1.5%, 명목성장률 2.5%로 전망 ㅇ 일본의 2017년도 실질 GDP 성장률은 2016년도 예상치인 1.3%보다 0.2% 상승한 1.5%로 예측 - 일본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주요 민간기관 41개소가 전망한 2017년도 평균 실질 성장률은 1.09%, 명목 성장률은 1.37%보다 매우 낙관적인 전망임. - 실질 GDP에 대한 내수 기여도는 1.4%, 외수 기여도는 0.1%로 내수 위주의 성장이 될 것으로 예상 - 개인소비는 2016년 대비 0.8% 증가, 설비투자는 전..
-
중국 통관우대 정책으로 일본 국제전자상거래 시장 급속 확대World Wide 2017. 1. 13. 14:08
중국 통관우대 정책으로 일본 국제전자상거래 시장 급속 확대2017-01-12 송혜주일본후쿠오카무역관- 중국 정부, 전자상거래로 국내 소비시장 활성화 효과 겨냥 –- 중국의 통관우대정책 지속으로 일-중 전자상거래 교역 급증 예상 – □ 중국의 국제 전자상거래 정책 변화 ㅇ 중국 정부, 2016년 4월부터 국제 전자상거래에 대한 인센티브제도 폐지 결정 및 시행 - 쇼핑몰 기업들 대응 애로 및 통관 장기화, 늦은 배달 등 전자상거래시장에 혼란 초래ㅇ 2016년 4월, 인센티브 제도를 1년 연장해 2017년 5월까지 시행 결정ㅇ 2016년 11월, 인센티브제 시행기간 2017년 말까지 재연장 발표 ㅇ 중국 정부, 인터넷 쇼핑몰에서 해외 제품을 직접 구입하는 ‘국제 전자상거래’의 통관 시 우대하는 현행 인센티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