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6년 대알제리 수출, 이런 품목들이 잘 나갔다World Wide 2017. 1. 18. 18:48반응형
2016년 대알제리 수출, 이런 품목들이 잘 나갔다
2017-01-18 조기창알제리알제무역관- 승용차, 화물차 고전하다 막판 두자릿수 수출증가율 시현 -
- 기계류, 자동제어기, 펌프, 밸브, 의료용기기 등도 선전 -
□ 우리나라 대알제리 수출 현황최근 5년간 우리나라 대알제리 수출 추이
(단위: 천 달러)
연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11월
수출액
1,130,700
(0.8%)
1,023,883
(-9.4%)
1,417,300
(38.4%)
850,174
(-40.0%)
946,143
(30.5%)
주: 괄호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2016년 월별 우리나라 대알제리 수출 추이
(단위: 천 달러)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53,427
(-36.6%)
130,184
(-26.2%)
202,263
(-29.4%)
241,617
(-35.3%)
292,599
(-30.8%)
367,980
(-21.0%)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453,890
(-11.2%)
497,317
(-10.7%)
568,013
(-5.9%)
646,070
(-2.5%)
946,143
(30.5%)
-
주: 괄호 안은 전년대비 증감률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우리나라 대알제리 수출은 2014년 14억 달러로 정점을 이루었다가, 국제유가 하락으로 인한 알제리 경기침체와 수입규제에 따라 2015년에는 전년에 비해 무려 40%나 감소했으며, 2016년에도 수출 감소세는 지속됐음.
ㅇ 그러나 2016년 5월부터는 수출 감소세가 둔화되기 시작하면서 11월에는 2억 달러가 넘는 선박 수출이 이루어져 동월 말 기준, 전년동기대비 수출이 30.5%나 크게 증가함.
- 선박(2억780만 달러)를 제외하면, 11월 말 기준 수출 증가율은 전년동기대비 1.9%임.
□ 우리나라 대알제리 수출 주요 품목별 현황 및 전망우리나라 대알제리 20대 주요 수출품목(2016년 11월 말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HS Code
품목
수출액
증감률
1
7461
선박
207,790
0.0
2
7411
승용차
96,011
57.2
3
7251
건설중장비
79,110
-5.6
4
7412
화물자동차
63,651
22.6
5
7420
자동차부품
48,097
6.9
6
7133
가열난방기
38,169
1,198.0
7
8421
변압기
27,965
62.5
8
6152
철구조물
27,346
6.1
9
7216
화학기계
26,229
268.0
10
7901
기타 기계류
25,456
81.8
11
8500
전선
24,104
-17.6
12
2140
합성수지
21,126
-0.1
13
7131
공기조절기
20,017
-39.1
14
8423
배전 및 제어기
16,167
-64.3
15
7290
기타 산업기계
13,673
-18.4
16
7112
펌프
13,042
128.2
17
7512
밸브
11,882
172.7
18
6171
주단강
7,135
-23.1
19
6141
철강관
6,875
-20.2
20
7215
고무플라스틱가공기계
6,507
3,187.6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ㅇ 선박: 선박 수출은 대형 물건이기는 하나 비정기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향후 수출 증가에 미치는 영향 파악이 불가함.
ㅇ 승용차 및 화물자동차: 승용차와 화물자동차 수출도 2016년 상반기에는 수출 감소세가 현저하게 늘어났으나, 2016년 7월 현대자동차 화물차 부문 현지 조립공장 가동과 11월 승용차부품 현지 조립공장 가동에 따라 수출 감소세가 둔화됨. 10월과 11월에 승용차는 전년동기대비 각각 51.5%, 57.2%, 화물차는 11.1%, 22.6% 증가세로 돌아섰음. 이들 현지 공장 가동이 본격화됨에 따라 향후 이들 품목의 수출은 크게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됨.
- 현대자동차는 이들 부품을 SKD 형태로 수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완성차 수출로 집계되고 있음.
알제리 내 현대자동차 대리점
ㅇ 자동차부품: 2015년에는 21.5%나 수출이 감소했던 자동차부품이 2016년 11월까지 6.9% 소폭 증가했으며, 알제리 현지 조립공장에서 공급된 한국 자동차의 시장점유율 확대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수출이 지속 증가할 전망임.ㅇ 전력기자재: 전력기자재 중 가열난방기, 변압기, 발전기 수출은 크게 증가했으나, 2015년에 대폭 늘어났던 공기조절기, 배전 및 제어기는 대폭 감소했음. 이들 전력기자재는 주로 한국 기업이 현지에서 수주해 건설 중인 발전소(5기)에 공급되고 있는데, 발전소 건설 진행상황에 따라 수출이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됨.
ㅇ 건설중장비: 2016년 11월 말 기준, 기타 건설중장비의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2.6% 증가한 6343만 달러를 기록함. 건설중장비 부품은 2015년 18.2% 감소에 이어 2016년 11월까지도 전년동기대비 39.8% 감소한 963만 달러에 그침. 건설중장비 부품 수출 감소세는 2017년에도 이어질 전망임.
ㅇ 기타 품목: 기계류, 밸프, 펌프, 자동제어기, 금형, 볼트 및 너트 등의 수출이 크게 신장됨.
□ 2017년 수출호조 예상 품목
ㅇ 기계류(화학기계, 고무플라스틱 가공기계, 금속성형가공기계, 섬유기계, 기타 기계 등)
ㅇ 자동제어기
ㅇ 펌프
ㅇ 밸브
ㅇ 기타 석유화학제품
ㅇ 볼트 및 너트
ㅇ 금형
ㅇ 의료위생용품
ㅇ 의료용기기
ㅇ 축전지
ㅇ 전자저울
ㅇ 전력기자재
ㅇ 보안용품□ 2017년 수출부진 예상품목
ㅇ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백색가전
ㅇ 컬러TV
ㅇ 특장차
ㅇ 건설중장비부품
ㅇ 전선
ㅇ 타이어□ 최근 알제리 대외교역 현황(2016년 11월 말 기준)
ㅇ 알제리 수출액은 전년동기 320억6000만 달러 대비 20.22% 감소한 255억8000만 달러를 기록함.
- 알제리 총 수출에서 원유가스 분야(hydrocarbons)가 차지하는 비중은 93.97%인 240억3000만 달러를 차지함.- 이외 반제품 1억12000만 달러, 식품 2억81000만 달러, 원자재 7500만 달러, 자본재 4800만 달러, 식품을 제외한 일반 소비재 수출이 1500만 달러를 기록함.
- 알제리 주요 수출국은 이탈리아(44억1000만 달러, 17.24%), 스페인(32억4000만 달러, 12.67%), 프랑스(29억5000만 달러, 11.53%), 미국(27억9000만 달러, 10.9%), 캐나다(12억5000만 달러, 4.91%) 순으로 집계됐음.
ㅇ 수입액은 전년동기 474억5000만 달러 대비 9.85% 감소한 427억8000만 달러로 집계됨.
- 식품 수입액은 75억3000만 달러, 자본재 140억7000만 달러, 농기구 4억6000만 달러, 반제품 105억 달러, 원자재 14억1000만 달러, 식품을 제외한 소비재 75억8000만 달러로 조사됨.
- 알제리 주요 수입국은 중국(77억 달러, 18.01%), 프랑스(43억7000만 달러, 10.22%), 이탈리아(42억6000만 달러, 9.96%), 스페인(32억9000만 달러, 7.71%), 독일(27억 달러, 6.34%) 순으로 나타났음.
- 한편, 알제리 수입시장에서의 한국 점유율은 2013년 2.05%, 2014년 2.78%, 2015년 2.27%, 2016년 9월 말 기준 2.20%로 지속 하락하고 있음.
- 반면, 중국의 경우 알제리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3년 12.43%, 2014년 14.06%, 2015년 15.94%, 2016년 9월 말 기준 17.67%로 지속 상승하고 있음.
알제리 최대 수입국의 위치를 확고히 하고 있는 중국
□ 알제리 국별 주요 수입품목 현황(2016년 9월 말까지)
ㅇ 승용차(HS Code 8703): 총수입액 9억3700만 달러
- 1위 루마니아(3억5000만 달러, 37.33%) 2위 스페인(1억5000만 달러, 15.53%), 3위 독일(1억3000만 달러, 13.94%), 4위 프랑스(6300만 달러, 6.78%), 5위 한국(4200만 달러, 4.46%)
ㅇ 화물자동차(HS Code 8704) 총수입액 5억1200만 달러
- 1위 중국(1억3000만 달러, 25.08%), 2위 독일(8600만 달러, 16.84%), 3위 한국(5900만 달러, 11.58%), 4위 이탈리아(5700만 달러, 11.11%), 프랑스(4000만 달러, 7.84%)
ㅇ 건설중장비(HS Code 8429) 총수입액 3억2600만 달러
- 1위 중국(7400만 달러, 22.54%), 2위 한국(5700만 달러, 17.33%), 3위 일본(4000만 달러, 12.17%), 터키(3000만 달러, 9.10%), 5위 영국(2400만 달러, 7.29%)
ㅇ 자동차부품(HS Code 8708) 총수입액 2억9200만 달러
- 1위 중국(6700만 달러, 22.93%), 2위 프랑스(4100만 달러, 13.88%), 3위 이탈리아(2600만 달러, 8.94%), 4위 독일 (2500만 달러, 8.66%), 7위 한국(1900만 달러, 6.57%)
ㅇ 가열난방기(HS Code 8419) 총수입액 2억900만 달러
- 1위 이탈리아(5300만 달러, 25.26%), 2위 한국(4500만 달러, 21.67%), 3위 중국(2000만 달러, 9.71%), 포루투갈(2000만 달러, 9.56%), 프랑스(1500만 달러, 7.22%)
ㅇ 변압기(HS Code 8504) 총수입액 3억4500만 달러
- 1위 이탈리아(6900만 달러, 20.02%), 2위 터키(5600만 달러, 16.19%), 3위 중국(4600만 달러, 13.45%), 4위 한국(3100만 달러, 9.17%), 5위 인도(3100달러, 9.03%)
ㅇ 철구조물(HS Code 7308) 총수입액 6억1600만 달러
- 1위 중국(1억3100만 달러, 21.31%), 2위 이탈리아(1억2200만 달러, 19.84%), 3위 터키(8700만 달러, 14.16%), 4위 스페인(4900만 달러, 7.96%), 10위 한국(2000만 달러, 3.30%)
* 2016년 9월까지 알제리 상위 30대 수입품목 중 중국 11개 품목, 이탈리아 6개 품목, 아르헨티나 3개 품목(주로 농축산물), 프랑스 2개 품목, 한국 1개 품목(HS Code 8421)이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나타내고 있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터키 리라화 이상 급락 추세, 투자자 불안 가중 (0) 2017.01.18 2017년 콜롬비아 최저임금은 얼마일까? (0) 2017.01.18 EU, 무역구제제도 강화 움직임 (0) 2017.01.18 성장하는 태국 홈쇼핑 시장을 잡아라 (0) 2017.01.18 중국 패션시장, 온라인 중심 트렌드 확산 (0) 2017.01.18 파키스탄 라텍스시장 팽창 기대 (0) 2017.01.18 중국 PPP 사업의 핵심지역으로 부상한 허난성 (0) 2017.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