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망]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1. 21. 13:00반응형
[유망]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동향
2017-11-21 조민 중국 베이징무역관- 중국 색조화장품시장, BB크림·CC크림 판매액 가장 높아 -- 2016년 중국 색조화장품 판매액 283억 위안 기록 -
자료원: 바이두
□ 상품명 및 선정사유
ㅇ 상품명: 색조화장품(HS Code 3304)
ㅇ 선정 사유
- 중국 색조화장품 시장규모는 2010년 56억 위안, 2013년 93억 위안, 2015년 116억 위안(전년대비 16% 증가)으로 성장함.
- 색조화장품은 화장품 중에서 성장률이 제일 빠른 제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색조화장품시장에 진입한 브랜드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임. 중국 산업정보망 통계에 의하면, 2013년 약 70개의 새로운 브랜드가 생겨났으며 2014년에는 253개가 새로 생겨남.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기준 중국 색조화장품 매출액은 283억1350만 위안 기록
- 그 중 BB크림, 파운데이션 등을 포함한 베이스 화장품이 138억2150만 위안으로 판매액이 제일 높았으며, 전체 색조화장품의49%를 차지함. 그 뒤로 립 제품(71억5270만 위안), 아이제품(60억3850만 위안) 순임.
ㅇ BB크림, CC크림의 6년간 복합 판매 성장률이 32.6%로, 성장률이 제일 높은 것으로 기록됨.
2011~2016년 색조화장품 판매 동향
(단위: 백만 위안, %)
자료원: Euromonitor
ㅇ 중국 색조화장품시장 지속적인 성장세 보임.
- 판매액이 2016년 283억 위안에서 증가해 2018년에 338억7620만 위안을 넘을 것으로 예상되며, 2021년에는 판매액이 439억6470만 위안을 넘을 전망
- 특히 BB크림, CC크림, 립글로스 성장률은 꾸준히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립라이너와 펜슬을 제외한 모든 제품군의 판매액이 증가 또는 유지될 전망
향후 4년간 중국 색조화장품 판매 예상액
(단위: 백만 위안)
자료원: Euromonitor
□ 최근 3년간 수입동향
ㅇ 연도별 수입동향
- 2014~2017년 중국 화장품 수입 시장규모는 지속해서 성장 추세임. 2016년 중국 화장품 수입 규모는 35억8404만 달러로, 2015년보다 31.7% 증가함.
최근 3년 중국 화장품(HS Code 3304.99) 수입규모 및 증감률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Kita.net
ㅇ 주요 수입국 수입동향
- 2016년 화장품 주요 수입국은 한국이 1위이며, 그 뒤는 프랑스·일본 순임.
- 한국은 2014년 수입국 4위에 머물렀지만 2015년 중국 수입화장품시장 성장 시기에 2위로 올라섰으며, 2016년에는 1위를 차지
- 2016년 한국은 54.3%의 증감률을 보이며 대중 수출이 증가하고 있음.
중국 화장품(HS Code 3304.99) 주요 수입국 현황
(단위: 천 달러, %)
주: 1) 2016년 순위 기준, 2) 자료원: Kita.net
ㅇ 주요 성별 수입동향
- 주요 성별 한국 화장품 수입동향을 보면, 상하이는 최근 3년간 1위 자리를 유지하고 있음.
- 2016년에 100% 이상 성장률을 보인 지역으로는 상하이(106.2%), 산둥(598.8%), 장쑤(112.7%), 충칭(100.9%) 등으로 지역의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임.
최근 3년간 주요 성별 화장품 수입동향(HS Code 3304.99 기준)
(단위: 천 달러, %)
주: 2016년 순위 기준임
자료원: Kita.net
□ 경쟁동향
ㅇ 2016년 기준, 중국 색조화장품 10대 브랜드 점유율이 전체 시장의 47.9% 차지했음.
- 그 중 L'Oréal(프랑스)가 전체 시장의 30%를 차지해 중국 색조화장품시장의 선두자리를 차지하고 있음.
- 1, 2위 역시 L'Oréal의 Maybelline(15.8%)과 L'Oréal Paris(8.6%)가 차지하고 있음.
ㅇ 중국 브랜드 KanS( 韩束), Marie Dalgar(玛丽黛佳)도 각각 5위(2.8%), 8위(2.4%)를 차지해 중국 색조화장품 브랜드의 시장성을 보여줌.
ㅇ 한국 아모레퍼시픽 소속 브랜드 이니스프리(2.8%), 라네즈(2.1%)는 각각 6위, 10위를 차지함. 두 브랜드는 한류열풍, 드라마를 통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있음.
2013~2016년도 중국 시장 내 10대 색조화장품 브랜드 점유율(단위: %)
순위
브랜드명
기업명(국가)
2013
2014
2015
2016
1
Maybelline New York
L'Oréal(프랑스)
20.3
19.0
17.5
15.8
2
L'Oréal Paris
L'Oréal(프랑스)
10.1
9.8
9.4
8.6
3
Carslan
Carslan(홍콩)
4.9
5.2
5.6
5.5
4
Dior
Dior(프랑스)
3.0
3.1
3.1
3.1
5
KanS
Shanghai Chicmax CosmeticsCo Ltd.,(중국)
-
-
2.9
2.8
6
Innisfree
AmorePacific Corp(한국)
0.2
0.6
1.7
2.8
7
Mary Kay
Mary Kay(미국)
2.9
3.3
3.1
2.4
8
Marie Dalgar
Shanghai Feiyang Cosmetics Co Ltd.,(중국)
1.9
2.0
2.2
2.4
9
Lancôme
L'Oréal(프랑스)
1.6
1.7
2.1
2.4
10
Laneíge
AmorePacific Corp(한국)
1.6
1.9
2.1
2.1
자료원: Euromonitor
□ 관세율, 등록제도 및 통관 시 유의사항
ㅇ 관세율
- 화장품(HS Code 3304.9900) 수입세율 중 한중 FTA 세율이 5.7%로 가장 낮으므로, 중국으로 수출 시 한중 FTA 세율 적용을 권장함.
HS Code
명칭
수입세율
부가가치세
(증치세)
단위
최혜국
한중 FTA
2017년 잠정세율
기본세율
3304.9900
Other
-
5.7%
-
150%
17%
kg
- Lip make-up preparations(HS Code 3304.1000), Eye make-up preparations(HS Code 3304.2000), Powders, whether or not compressed(HS Code 3304.9100)는 수입세율 중 최혜국세율 10%로 가장 낮으므로, 중국으로 수출 시 최혜국세율 적용을 권장함.
HS Code
수입세율
부가가치세
(증치세)
단위
최혜국
한중 FTA
2017년 잠정세율
기본세율
3304.1000
3304.2000
3304.9100
10%
-
-
150%
17%
kg
ㅇ CFDA 위생허가증 취득 필요
- 중국에 최초로 수입되는 모든 외국 화장품은 '수입화장품 위생 행정허가증'을 취득해야 함.
- '위생 행정허가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 식품약품감독관리총국(China Food & Drug Administration, CFDA)에서 지정한 화장품위생검사기구에서 샘플검사를 받은 후,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에 그 검사 결과와 함께 '수입화장품 위생허가신청서'를 제출해 심사를 받아야 함.
- 화장품 위생허가 미취득 시 중국 수출이 불가함.
□ 관련 전시회 정보
전시회명
2018上海大虹桥美博会
2018 Shanghai Hongqiao Beauty Expo
일정
2018년 5월 19~21일
장소
国家会展中心(국가회의센터)
규모(2017년 기준)
18개 국, 2200개 유명브랜드, 400명 구매상
홈페이지
http://www.apppexpo.cn/zx.asp
전시회명
2018第二十三届中国美容博览会 · 上海新国际博览中心
2018Twenty-thirth China Beauty Expo·
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
일정
2018년 5월 22~24일
장소
上海新国际博览中心(상하이신국제전시센터)
규모(2017년 기준)
30개 국, 3500개 유명브랜드, 41만 명 참관
홈페이지
http://www.cbebaiwen.com/index.aspx
전시회명
2018第6届中国义乌美博会(CYBE)
2018Sixth China Yiwu Beauty Expo
일정
2018년 4월 1~3일
장소
义乌国际博览中心(의우국제전시센터)
규모(2017년 기준)
600개 유명브랜드, 4만 명 참관
홈페이지
http://www.gjqxsb.com
□ 시사점
ㅇ 한국이 중국 화장품 수입국 1위라는 것은 그만큼 중국 내 K-pop과 한국 드라마 등 한류열풍의 파급효과가 크다는 의미임.
- 실제로 2016년에 방영한 드라마인 '태양의 후예'로 인해 송혜교의 라네즈 립스틱이 큰 인기를 얻은 바 있음.
- 한중관계 개선 조짐이 보이는 최근, 한류열풍을 통한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
ㅇ 온라인 매장을 통한 색조화장품 판매 증가 추세
-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매장의 가격경쟁력이 높음. 이니스프리, 에뛰드하우스, 미샤 등 한국 브랜드 경우 오프라인 가격이 온라인 가격의 1배 이상이며, 광군절(11월 11일) 등 세일기간에는 1.5배에서 2배까지 증가하기도 함.
- 특히 최근 왕훙(網紅)의 경제적 파급력이 커지면서 왕훙 생방송을 통한 소비자들의 화장품 구매가 증가하는 추세임.
- 우리 기업은 온라인 판촉전을 통한 중국 시장 진출 전략 필요
ㅇ 중국 정부의 수입 검역 강화, 안전 관련 인증서 점검이 강화되고 있으므로 중국 정부의 정책 변화 수시로 체크 필요
- 2017년 9월 중국 국가질검총국이 수입 불허한 38건 화장품 중 곰팡이 검출 9건, 라벨 불합격 7건, 유통기간 초과 6건 등이 검출됨.
- 2017년 10월 24일 국가질검총국은 '출입국 검험검역 절차 관리 규정' 개정안을 발표. 2017년 1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이번 개정안은 수입 화물의 검사검역 비율을 조정하고 절차별 진행시한을 정했음.
· 규정은 화물의 위험성 및 수출기업의 신용등급에 따라 검사검역 비율이 다르며, 위험 등급이 높거나 신용등급이 C급 이하인 수출업자가 신고한 화물에 대해 화물 추출 비율을 최대 100%까지 늘릴 수 있으며, 품질 안전 수준이 안정적이거나 신용등급이 A급 이상인 수출업자의 화장품에 대해서는 검사를 위한 추출 비율을 10%까지 낮춰 진행함.
- 우리 기업이 통관 관련 규정을 잘 준수하고 신용등급을 높이면 통관 시 검사검역 추출비율을 낮출 수 있음.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난화 대책에 부심하는 일본 정부와 기업들 (0) 2017.11.21 [유망] 일본 화장품 시장동향 (0) 2017.11.21 [유망] 중국 스마트 스피커 시장동향 (0) 2017.11.21 中, 천연가스 위주로 에너지 소비정책 전환 (0) 2017.11.21 말레이시아 의약품시장과 진출전략 (0) 2017.11.21 요르단 '신도시 건설 프로젝트' 이모저모 (0) 2017.11.21 中 대륙의 택배업, '친환경'과 '공유'가 트렌드 (0) 2017.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