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스포츠용품 시장동향World Wide 2017. 12. 6. 13:42반응형
프랑스 스포츠용품 시장동향
2017-12-05 김다희 프랑스 파리무역관- 프랑스인이 가장 좋아하는 취미활동, 꾸준한 시장 확대 전망 -
- 제품 선정부터 판매까지 신중하게 결정해야 -
□ 프랑스인이 가장 사랑하는 취미활동 스포츠
ㅇ 프랑스 체육부의 발표에 따르면, 프랑스인이 취미로 가장 선호하는 활동은 스포츠이며, 프랑스인 4명 중 1명이 스포츠 활동을 기분전환을 위해 하는 활동 1위로 선택함. 15세 이상 국민 중 42%는 일주일에 1회 이상 체육 활동을 한다고 응답함.
ㅇ 프랑스인은 연 평균 253유로를 스포츠 용품을 구입하는 데 소비하고 있음.
ㅇ 당뇨, 비만 등 운동부족으로 나타날 수 있는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건강을 위해 정기적으로 체육 활동을 하는 다양한 연령대의 프랑스인이 증가하고 있음.
프랑스인 체육활동 빈도 설문 결과
자료원: 프랑스 체육부
□ 프랑스 스포츠용품 시장동향
ㅇ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스포츠용품시장
- 스포츠 및 자전거연합(Union Sport & Cycle)의 결산에 따르면, 스포츠용품시장 수익은 2016년 전년 대비 2.7% 상승한 110억 유로에 이름.
- 2000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성장 추세를 보이던 스포츠용품시장은 2008년에서 2010년까지 잠시 주춤하는 듯했으나, 2010년 이후 상승세로 돌아섬.
- Capitalmind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스포츠용품 유통규모는 2020년까지 4%에서 5%의 성장률을 유지할 전망
연도별 스포츠용품 시장규모
(단위: 십억 유로)
자료원: 스포츠 및 자전거 연합(Union Sport & Cycle)
ㅇ 전문매장 선호하는 프랑스인
- 프랑스인은 비전문매장보다는 스포츠용품 전문매장에서의 제품 구입을 선호하며, 전문가의 의견과 상품에 적용된 기술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남.
- 프랑스 스포츠 및 자전거 연합의 발표에 따르면 2016년 스포츠용품 전문매장의 연간 판매액은 전년대비 3.2% 상승한 88억 유로였으나, 비전문매장 판매액은 전년대비 0.5% 오른 약 21억 유로로 4배에 가까운 차이를 보임.
- 또한 최근 몇 년간 종합스포츠용품 매장 또는 체인점에서 소비를 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으며, 개인 매장이 늘어나고 있는 데 비해 수익은 줄어들었음.
- 매장 유형별 판매율은 종합스포츠용품매장이 판매액 53억 유로로 약 60%, 브랜드별 프랜차이즈 매장이 29억 유로로 33%이며 개인매장이나 브랜드는 약 6~7%만을 차지하고 있음.
- 또한 종합 스포츠용품 매장과 프랜차이즈 매장이 각각 전년대비 4.8%, 3%의 성장률을 보임. 반면, 개인 매장과 브랜드는 수입이8.4% 하락함.
전문매장과 비전문매장 판매비율
(단위: 십억 유로)
매장유형별 판매비율
(단위: 십억 유로)
자료원: 스포츠 및 자전거 연합(Union Sport & Cycle)
프랑스 내 주요 스포츠용품 전문매장
기업명
매출액(백만 유로)
프랑스 내 매출액(백만 유로)
점유율(%)
프랑스 내 매장 수(개)
9,100
3,300
30
300
10,400
1,700
20
600
680
1,000
10
300
5,100
500
5
600
자료원: La vie des entreprises, 각 기업 홈페이지
ㅇ 수입동향
- 2016년 프랑스의 스포츠용품 수입액은 11억4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6.5% 상승함.
- 최근 5년간 중국 제품의 수입량이 가장 많았으나, 2016년에는 전년 대비 19.46% 감소했음. 벨기에, 스페인, 이탈리아 등 유럽 국가들에서의 수입이 증가하고 있음.
- 한국은 전체 수입국 중 26위이며 2016년 프랑스의 한국 스포츠용품 수입액은 25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37% 상승함.
프랑스 스포츠용품 수입동향(HS Code 9506 기준)
(단위: 백만 달러, %)
순위
국가명
2012
2013
2014
2015
2016
점유율(2016)
증감률('16/'15)
-
총계
1053
1072
1200
1071
1141
100
6.5
1
중국
348
337
395
322
259
22.73
-19.46
2
벨기에
153
136
125
145
204
17.89
40.25
3
스페인
77
86
115
103
134
11.79
30.63
4
이탈리아
107
108
120
97
114
10.02
18.09
5
독일
80
99
105
100
104
9.11
3.97
6
영국
47
52
36
60
56
4.95
-7.07
7
네덜란드
34
29
30
30
47
4.16
56.96
8
오스트리아
35
49
35
35
36
3.16
1.20
9
대만
20
19
22
22
35
3.11
61.56
10
태국
22
19
19
18
19
1.72
4.93
26
한국
3.8
3.7
3.5
2.3
2.5
0.22
10.37
주: 1) 2016년 기준, 2)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 주요 트렌드
ㅇ 스포츠용품 중에서도 신발류는 2015년 10%에 이어 2016년에도 판매량이 7.8% 증가함으로써 인기 제품임을 증명하고 있으며,그 중에서도 아웃도어 신발과 운동화 판매는 두 배가량 증가함.
ㅇ 여성들의 스포츠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여성용 스포츠용품이 주목을 받고 있음. 최근 4년간 여성용 스포츠용품은 남성용의 두 배에 가까운 성장률을 보여줌.
ㅇ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스포츠용품시장에서도 재사용가능한 원단을 이용해 제작된 신발 등 환경 친화적 경향을 반영한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임.
ㅇ 프랑스는 환경보호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고, 그 중 파리 시는 '차량 없는 거리'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며 자전거 활성화 정책에도 1억5000만 유로를 투자한 바 있음. 그에 따라 자전거와 관련 장비 판매율은 2016년 전년 대비 6.2% 증가했으며, 판매 금액은 18억 유로였음. 특히 전기 자전거는 10만 대 이상 판매됐고, 판매율이 두 배 증가함.
ㅇ 온라인 판매가 4년간 71% 증가했으며, 2016년 판매량은 전년 대비 10% 증가한 12억 유로에 이름.
□ 시사점
ㅇ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스포츠용품시장
- 운동이 인기 있는 취미 활동이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와 관련 용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
- 또한 파리가 2024년 하계 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됐기 때문에 다양한 스포츠 활동에 대한 관심도 이어질 것으로 보임.
ㅇ 신중한 제품과 유통업체 선정
- 프랑스인들은 환경 보호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친환경적인 제품의 소비에 호의적인 경향이 있음.
- 유명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소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제품의 친환경적인 면을 어필하는 것이 좋음.
- 또한 프랑스인들은 제품 구입 시 대형마트 등 비스포츠용품 전문매장보다는 스포츠용품 전문매장을 방문하기 때문에, 대형 종합스포츠용품 프랜차이즈 등을 통해 시장에 진출할 필요가 있음.
- 온라인 판매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온라인 마켓을 통한 진출도 고려해볼 만함.
ㅇ 국가 인증 통한 안정성 증명
- 프랑스 내에서 인지도가 부족한 브랜드의 경우 인증을 통해 제품의 안정성과 품질을 증명해야 함.
- 프랑스는 기본적으로 EU의 인증제도를 따르고 있으며, 프랑스 자체 인증제도를 함께 시행하고 있음.
프랑스 내 인증 기관 및 인증 마크
기관명
홈페이지
대상인증
취급 품목
AFNOR(시험·인증)
NF, CE, ICA, ISO, Ecolabel,
AFAQ, Keymark
일반 공산품 전반
ASQUAL(인증)
ASQUAL
섬유, 의류
UTAC(인증)
UTAC
자동차, 사이클
자료원: AFNOR
반응형'World W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망] 일본 LED 조명 시장동향 (0) 2017.12.06 [유망] 프랑스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0) 2017.12.06 유럽 시장진출 여권, CE 인증 (0) 2017.12.06 [유망] 일본 기지국 시장동향 (0) 2017.12.06 슬로바키아의 수도 브라티슬라바 공항 현대화 프로젝트 (0) 2017.12.06 [유망] 러시아 세제 시장동향 (0) 2017.12.06 네덜란드 식품 리테일시장 공략백서 (0) 2017.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