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일본 LED 조명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12. 6. 13:43
    반응형
    [유망] 일본 LED 조명 시장동향
    2017-12-05 이세경 일본 도쿄무역관

    - 2020년 도쿄올림픽에 따른 건설 붐, 주택 리모델링용으로의 지속적인 수요 전망 -

    - 국내 기업은 점포용 사이니지 등 신규 영역 개척도 꾀해야 -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LED 조명(HS Code 940510)


    □ 시장규모, 동향 및 선정사유


      ㅇ LED 전구의 일본 내 판매수량은 2015년 2787만 개에 달했는데, 다양한 기업의 참여로 가격 경쟁이 격화되고 있음.


    일본 LED 조명(조명기구+램프) 시장동향

    연도

    매출(백만 엔)

    증감률(%)

    external_image

    2011

    210,000

    65.8

    2012

    402,000

    91.4

    2013

    520,000

    29.4

    2014

    600,094

    15.4

    2015

    697,584

    16.2

    주: 1) ㈜산업기기용을 제외한 건물용 일반조명, 2) 자료원: 야노경제연구소


      ㅇ 한편 2020년 도쿄올림픽에 따른 건설 붐으로 수요 확대가 예상됨. 
        - 각종 인프라(경기장 및 선수촌) 및 상용시설(호텔, 요식업계)에서도 특수가 발생될 전망
        - 올림픽 준비와 운영 전반에 있어 친환경을 강조함에 따라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LED제품 유망


      ㅇ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세대·인구 감소로, 주택 신축에서 기존 주택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리모델링으로 정책을 선회함. 이에 따라 리모델링 시장용(건축자재, 인테리어 관련 제품 등) LED 조명 확대 전망


      ㅇ 법 개정(에너지절약 성능 기준준수 의무화)에 따른 수요확대도 기대됨. 
        - 2020년 4월부터 건축 관련 에너지 절약·효율화 기준이 법률로 의무화됨.
        - 일본 정부는 건축물 에너지 소비성능 향상을 위해 LED 조명, 단열성이 높은 섀시나 유리, 고효율 공조 기계설비 등을 설치 권고 중


    □ 한국 등 주요 국가로부터의 수입동향


      ㅇ 일본의 LED 조명 수입 금액은 2016년 2억4142만8000달러로 전년(2억5171만1000달러) 대비 감소했으나, 2017년에는 증가세로 반등해 2017년 9월 현재 2억5234만3000달러로 수입 규모가 확대됨.


      ㅇ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15년 1262만2000달러에서 2017년 9월까지는 1651만3000달러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같은 기간 점유율도 2015년 5.01%에서 2017년 6.54%로 확대됨.


      ㅇ 최대 수입국은 중국으로 2015년 1억7855만3000달러를 수입했으며, 2017년 9월까지는 1억9381만5000달러를 수입해 규모·점유율(2015년 72.45% → 2017년 76.81%) 모두 확대됨. 


    LED 조명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940510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17/'16)

    2015

    2016

    2017.9

    2015

    2016

    2017

    -

    전 세계

    251,711

    241,428

    252,343

    100

    100

    100

    4.52

    1

    중국

    178,553

    174,923

    193,815

    70.94

    72.45

    76.81

    10.8

    2

    한국

    12,622

    14,612

    16,513

    5.01

    6.05

    6.54

    13.01

    3

    태국

    12,882

    11,913

    8,866

    5.12

    4.93

    3.51

    -25.57

    4

    미국

    5,309

    4,851

    5,389

    2.11

    2.01

    2.14

    11.1

    자료원: World Trade Atlas


    □ 수입규제, 관세율 및 필수 인증 등 

      ㅇ (수입규제) 관세 및 비관세 규제 등은 특별히 없음.


      ㅇ (관세율) 무관세


      ㅇ (필수 인증) 2001년 4월부터 ‘전기용품 안전법’에 따라 전기제품의 제조·수입사업자는 법에 따라 PSE마크를 반드시 표시하도록 의무화됐음. 
        - LED램프 및 LED 전등기구는 2012년 7월부터 PSE 마크 적용 대상에 포함됨.
        - 적용대상품목은 1W 이상의 LED램프 및 LED 전등기구(방폭형은 제외)이며, LED램프에서는 꼭지쇠가 정격 전압이 100~300V, 정격 주파수가 50·60Hz인 제품
        · 경제산업성의 전기용품 안전법 소개: http://www.meti.go.jp/policy/consumer/seian/denan/act_outline.html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OEM 시장은 중국과 한국이 양분하고 있으며, 일본 기업은 파나소닉, 도시바 등이 백색전구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LED 전구에 주력하고 있음. 
        - 일반 소비자 대상으로는 한국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높지 않은 편이며, OEM과 부품 형태의 수출이 많기 때문으로 보임.


    일본 LED 조명(조명기구+램프) 시장 주요 기업 현황(2015년)

    순위

    기업명

    매출(백만 엔)

    점유율(%)

    2015년

    2014년

    증감

    2015년

    2014년

    증감률

    1

    파나소닉

    184,900

    173,100

    11,800

    26.5

    28.8

    -2.3

    2

    도시바라이텍

    99,500

    82,300

    17,200

    14.3

    13.7

    0.6

    3

    다이코우전기

    42,900

    32,900

    10,000

    6.1

    5.5

    0.6

    4

    ODELIC

    37,300

    28,800

    8,500

    5.3

    4.8

    0.5

    5

    고이즈미조명

    34,300

    26,700

    7,600

    4.9

    4.4

    0.5

    -

    기타

    298,684

    256,294

    42,390

    42.8

    42.7

    0.1


    합계

    697,584

    600,094

    97,490

    100

    100


    주: 1) ㈜산업기기용을 제외한 건물용 일반조명, 2) 자료원: 야노경제연구소 


      ㅇ 필립스(조명 세계 1위), 오스람(조명 세계 2위) 등 글로벌 기업은 자사제품으로 일본 시장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음.


    □ 시사점


      ㅇ 기존 일반 제품의 경우 가격경쟁이 치열하므로 공장용 조명, 점포용 사이니지, 목축업 축사용 조명, 수산시장용 조명 등 신규영역 개척을 고려해볼 만함.


      ㅇ 주택이나 건물 등의 증개축 관련 사업자 및 개인도 타깃 고객층이 될 수 있음. 
        - 전구 등의 조명기기는 소모품이기 때문에 정기적인 유지와 교체가 필요함. 따라서 향후 지속적인 수요가 기대됨.


      ㅇ 2020년 도쿄올림픽, 주택·건물 리모델링 정책, 에너지 절약 법률 등에 따라 LED 조명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임. 현지의 관련 전시회* 등의 참가를 통한 현지 시장반응 점검과 진출 전략도 고려 필요 
        * 도쿄 리폼 산업전시회(2018년 7월 17(화)~18일(수), 빅사이트): 동일본 최대 건설기자재 리폼시장 전문 전시회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