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유망] 프랑스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World Wide 2017. 12. 6. 13:42
    반응형
    [유망] 프랑스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2017-12-05 김영호 프랑스 파리무역관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자동차부품(HS Code 8708)

        - 승용차, 화물차특수용도 차량의 부분품과 부속품

     

    □ 선정 사유

      ㅇ 프랑스 자동차부품시장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임.

     

      ㅇ 프랑스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부품시장이 지속 증가하고 있음.

        - 2016년 전년대비 8.6% 증가 및 2017년 3분기 전년동기대비 8.3% 증가

     

      ㅇ 한국산 제품은 프랑스에서 선호하는 자동차부품 중 하나로 프랑스 수입시장 0.7% 점유

        - 2016년 전년대비 35.5% 증가해 20위 차지

        - 2017년 3분기 기준전년동기대비 10.8% 감소에도 불구하고 20위 유지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A/S용 자동차부품 시장 규모는 86 유로(약 95 달러)로 전년대비 4.3% 증가

     

    프랑스 A/S용 자동차부품 소매시장 현황

    (단위백만 유로, %)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금액

    증감률

    7,800

    4.0

    7,700

    -1.3

    8,100

    5.5

    8,600

    4.3

    자료원프랑스 자동차 공업협회CCFA)

     

      ㅇ 프랑스 등록차량( 3700만 대)의 약 50% 2010년식 이전 제조차량

        - 8년 이상된 자동차의 부품 교체 및 수리에 수요가 많음.

     

      ㅇ 현지 소비자들은 자동차 회사가 운영하는 전문 서비스센터일반 정비소에서 정비

        - 고소득층의 경우 옵션 많은 신차를 구매해 보증기간에 따라 고품질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자동차 브랜드별 전문서비스 센터 방문

     

    □ 프랑스의 자동차부품 교역동향

     

      ㅇ 2016년 프랑스 자동차부품 교역규모는 총 253억2780만 달러로 전년대비 5.5% 증가

        - 2017년 3분기 교역규모는 총 221563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6% 증가

     

      ㅇ 2016년 프랑스 자동차부품 무역흑자규모는 114858만 달러로 전년대비 40.6% 감소

        - 2017년 3분기 무역흑자규모는 15308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85.7% 감소

     

    프랑스의 자동차부품 교역 현황(HS Code 8708)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14

    2015

    2016

    2017년 3분기

    수입(백만 달러)

    9,950.5

    11,041.0

    12,089.1

    11,001

    수출(백만 달러)

    12,699.2

    12,975.9

    13,237.7

    11,155

    수지(백만 달러)

    2,748.7

    1,934.9

    1,148.6

    155

    교역(백만 달러)

    22,659.7

    24,016.9

    25,327.8

    22,156

    자료원: Global Trade Atlas

     

      1) 수입동향

     

      ㅇ 2016년 프랑스 자동차부품 수입규모는 총 1208910만 달러로 전년대비 9.5% 증가

        - 2017년 3분기 수입규모는 총 110억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8.3% 증가

     

      ㅇ 2016년 최대 수입 국가는 독일(25.2%), 스페인(9.7%), 이탈리아(9.8%), 체코(5.8%), 일본(5.42%), 벨기에(5.1%),네덜란드(5.1%) 등 프랑스 자동차 및 부품 업체들이 생산 기지를 두고 있는 국가들이 대부분

     

      2) 수출동향

     

      ㅇ 2016년 프랑스 자동차부품 수출규모는 총 1323770만 달러로 전년대비 2.0% 증가

        - 2017년 상반기 수출규모는 11155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0.7% 감소

     

      ㅇ 주요 수출국은 독일(25%), 스페인(14.8%), 영국(8.2%), 이탈리아(5.0%), 벨기에(5.0%), 슬로바키아3.6%), 터키(3.5%),루마니아(2.8%), 폴란드(2.4%), 중국(2.4%), 체코(2.3%), 미국(2.1%), 한국(2.0%) 등 프랑스 완성차 및 차부품 업체들의 생산 기지가 있는 국가들

     

    □ 대한국 수입규모 및 동향

     

      ㅇ 2016년 한국산 자동차부품 수입규모는 9907만 달러로 전년대비 35.5% 증가

        - 2017년 3분기 한국산 수입규모는 7700만 달러로 전년동기대비 10.8% 감소

     

      ㅇ 한국산 자동차부품에 대한 비교적 우호적인 인식이 형성돼 있음.

        - 중국산보다는 한국산이 품질 면에서 우수하다고 평가함.

        - 프랑스 내 한국 차량 보유량이 지속 증가하며 한국산 부품에 대한 고정 수요가 지속 증가

      

    □ 경쟁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프랑스 빅3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오래 전부터 미래 자동차의 시장 선점을 위해 전략 무기를 연마하고 있음.

        - 발레오(Valeo)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용 부품 연구개발에 주력

        - 포레시아(Faurecia)는 미래차용 조종석과 수소연료 엔진 연구 개발에 주력

        - 플라스틱옴니엄(Plastic Omnium)은 하이브리드차, LPG차 및 수소차용 연료탱크 및 에너지 저장 또는 로봇 차의 센서를 포장할 수 있는 형상기억 플라스틱 소재 개발에 주력

     

      ㅇ 프랑스 자동차 업계가 서로 다른 시선으로 자율주행차의 등장을 바라보고 있음.

        - 완성차 업체들은 내연기관 자동차를 위기에 처하게 하고 기존 모델들을 전면적으로 재검토케 하는 자율주행차의 등장을 불안한 시선으로 관망

        - 자동차 부품업체들은 오히려 이러한 변화를 반기며 적극 투자 개발 노력 강구 중

     

      ㅇ 발레오는 경유에서 가솔린으로의 전환이 자회사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며 경유엔진이나 가솔린엔진에 비해 전기 및 하이브리드 동력에 콘텐츠를 2고출력 전기차에 7충전식 하이브리드차에 9배 증가하는 등 산업 전략을 전환하고 있음.

     

     external_image 

     

    □ 빅3 자동차 부품업체들의 기술 전략

     

      ㅇ 포레시아는 대아시아 진출 강화

        - 지난해 플라스틱 부문 매각으로 부채 청산 후 2017년 상반기 영업실적 호전. 매출 86억 유로로 8.5% 증가영업이익 6.8% 증가

        - 아시아 및 일본 시장 진출 강화 위해 현대기아차 및 미쓰비시 등 고객과의 관계 강화

        - 거래처 다변화를 통해 2017년 매출 7% 증가 및 영업이익 6.6~7% 증가 전망

     

      ㅇ 발레오는 지멘스(Siemens)와의 합작투자로 전기차 개발에 주력

        - 2016년 12월 체결한 양사 간의 전기차 동력 개발 위한 합작투자로 30억 유로 매출 기록(50%가 엔진용 부품)

        - 주요 고객인 현대기아의 중국 판매 중단에도 불구하고 유럽 판매에 힘입어 판매 호조

        - 올 상반기 매출 95억 유로로 16% 증가 및 영업이익 7억5400만 유로로 17% 증가

        - 수주액 150억 유로로 최고 기록

        - 연구개발비 20% 증가로 2021년 매출 270억 유로 달성 목표

     

      ㅇ 플라스틱옴니엄은 SUV에 집중 투자

        - 10년 전부터 소리 없이 SUV에 집중 투자(35개국에 75개 고객에 납품 중)

        - 현재 차 시장의 55%가 SUV인 바, 2021년까지 매출을 100억 유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올 상반기 매출 40억1000만 유로로 12% 증가 및 영업이익 3억2500만 유로로 21.5% 증가

        - NOx 배출량 감소용 부품(SCR) 미국 판매액 2억 유로로 57% 증가

     

    □ 관세율, 인증

     

      ㅇ 관세율: -EU FTA 시행에 따라 수입 관세가 없음.

        원산지인증수출자 획득 필요

     

      ㅇ 부가세: 20%

     

      ㅇ 자동차부품의 경우 ETAC 인증을 받아야 함.

        품질 인증 획득 필요

     

    □ 전망 및 시사점

     

      ㅇ 경유차의 시대가 임박해 자율주행차, 친환경차의 개발 경쟁이 가속화하고 있어 미래차용 부품 개발 전략이 필요한 상황임.

        프랑스 빅3 자동차부품업체들이 수년 전부터 미래 자동차용 기술 부품 연구개발 투자에 주력해 막대한 영업실적을 올리며 이제는 미국한국 및 일본 완성차업체들에도 핵심 부품을 납품하는 등 우리나라 부품업체에 앞서 세계 주요 시장을 선점 중

     

      ㅇ 커넥티드 카 등 미래차의 핵심 부품시장 선점을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 투자 노력과 다분야 산업 파트너십 등 협력 강화 노력도 필요한 상황임.

     

      ㅇ 미래차용 부품 개발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 경우 한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이 판매 중이고 기존 제품의 선호도가 높아 프랑스 경기 회복에 따라 내년부터 다시 증가할 전망

        - 현지 자체적으로 진행되는 전시회 또는 국내 각 기관에서 파견하는 무역사절단 참가를 통해 현지 자동차부품시장 진출을 시도하는 것이 좋음.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