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몽골 공공교육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World Wide 2017. 12. 7. 12:57
    반응형
    몽골 공공교육 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2017-12-07 Nandintsatsral Amarsanaa 몽골 울란바토르무역관

    세계적으로 수요가 높은 이러닝 교육시장은 몽골에 초기 단계이기에 아국기업 진출이 유망 -

    중산층 소득수준에 따른 민간 유아교육기관 수요가 증가세 -


     


    □ 몽골 교육시장 일반 현황


     몽골 교육 시장 Key Facts

    인구

    3119935

    언어

    몽골어

    의무교육

    9 (초등5중등4)

    학기 시작 월

    9

    대학교 수

    국립대 17사립대 74외국계 대학교4

    학생 수

    대학생157,138

    취학률

    95% 이상

    교육주관부처

    교육·문화·과학·스포츠부


      ㅇ 2016 년 기준 몽골 인구는 3119935명으로평균 수명 69.5( 65, 75), 인구증가율은 2%로 전년대비 0.1% 하락함.

        - 35세 미만 인구가 전체 인구의 65% 수준인 201만명임

        - 교육대상인 0~24세 연령대가 전체 인구의 45.8%를 차지하며몽골 교육 시장은 잠재력이 큰 것으로 평가됨.


    몽골 인구 연령별 통계(명)

    연령

    2014

    2015

    2016

    인구

    여자 수

    인구

    여자 수

    인구

    여자 수

    합계

    2995.9

    1529.5

    3057.8

    1554.2

    3119.9

    1585.9

    0-1

    74.7

    36.4

    79.7

    38.9

    79.9

    38.9

    1-4

    271.3

    133.0

    307.2

    149.9

    314.6

    153.7

    5-9

    271.3

    134.0

    298.8

    146.3

    322.6

    157.8

    10-14

    224.1

    110.8

    219.3

    107.7

    220.4

    107.8

    15-19

    244.3

    122.1

    239.9

    118.1

    236.4

    116.4

    20-24

    278.2

    139.9

    267.8

    132.8

    255.1

    126.2

    25-29

    305.8

    154.9

    313.7

    156.6

    314.5

    157.0

    30-34

    257.9

    131.0

    263.5

    133.0

    274.0

    138.0

    35-39

    233.4

    119.2

    232.6

    118.1

    236.7

    120.3

    40-44

    208.7

    107.4

    208.4

    107.6

    214.2

    110.7

    45-49

    178.5

    93.6

    178.4

    93.8

    181.4

    95.1

    50-54

    154.4

    82.1

    152.6

    81.4

    159.0

    85.0

    55-59

    108.1

    58.6

    115.1

    63.6

    119.9

    66.2

    60-64

    66.6

    37.0

    65.6

    37.1

    73.9

    41.8

    65-69

    42.3

    24.2

    43.2

    25.3

    43.7

    25.9

    70+

    76.3

    45.3

    72.0

    44.0

    73.6

    45.1

                         자료원: Mongolian statistical yearbook 2016

     

    □ 공교육 시장 현황


      ㅇ 몽골의 학제는 유아교육초··고등교육전문학교대학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몽골에는 총 2,132개의 공공교육기관이 있으며, 이중 848(39.8%)는 울란바토르시에 있음.


    1) 유아교육기관


      ㅇ 몽골은 35세 이하의 인구비중이 전체의 2/3수준으로 매우 높으며 중산층의 소득증대에 따라 유아교육 대상 학생 수의 증가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 2016년 기준 1,354개 유아교육기관에 24만3432명이 다녔으며소유 형태에 따르면 국립 854사립은 500개로 집계됨.

         - 사립 유아교육기관의 407(81.4%)는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시에 위치하며 전년대비 47개 증가함.


    유아교육 기관 수(개)

    연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 수

    소유형태

    학생 수

    국립(증감률)

    사립(증감률)

    2012

    945

    750(2.2%)

    195(34.5%)

    180,969

    2013

    1067

    764(1.9%)

    303(55.4%)

    193,672

    2014

    1177

    777(1.8%)

    394(30%)

    206,636

    2015

    1288

    826(6.3%)

    462(17.2%)

    225,388

    2016

    1354

    854(3.4%)

    500(8.2%)

    243,432

      자료원몽골 교육·문화·과학·스포츠부 2016년 보고서 


      ㅇ 2016년 기준 전체적으로 25,639명 유아교육 교사 및 직원들이 근무했으며이것은 전년대비 1,460명 혹은 5.7% 증가한 수치임또한 총 교사 및 직원 중 21,085(82.2%)은 국립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4,554(17.8%)은 사립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며 이것은 전년대비 각각 증가함.

     

    2) 초중고등학교


      ㅇ 몽골 의무교육은 초중교육으로 9년이나 고등학교 졸업률은 높은 수준임.

        - 대학 입학 전 단계까지의 몽골 교육제도는 초등 5(6~10), 중등 4(11~14)ㅡ 고등과정 3(15~17 12년으로 구성됨.

        - 몽골은 2004년까지 공공교육기간은 10년이었으며 2004년부터 2013년까지의 기간 동안 단계적으로 12년제로 개선함. 2013년에 첫 12학년 학생들이 졸업함.

        - 초중고등학교는 공공교육으로 정부가 무상으로 교육을 제공하며국립학교와 사립학교 체계로 운영되고 있음.


      ㅇ 몽골 사립학교 학생 수는 지속 증가세

        - 몽골 초··고등학교의 29%, 총 학생의 42.3%는 수도인 울란바토르시에 위치하고 있음.

        - 울란바토르시 기준으로 국립학교의 한반에 34.2명이 배치되며사립학교에는 18명이 배치됨.


      ㅇ 2016년 기준 총 교사 수는 1만1084명이며그 중 3,681(33.2%)은 초등과정 교사, 66.8%는 중·고등과정 교사임.


    몽골 초·중·고등학교 교육 현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학교 수

    755

    756

    762

    768

    778

    소유 형태

    국립

    621

    628

    628

    636

    645

    사립

    134

    128

    134

    132

    133

    위치

    울란바토르

    207

    203

    210

    211

    225

    지방

    548

    553

    552

    557

    553

    총학생 수

    496,123

    497,022

    505,816

    535,055

    551,953

    성별

    여자

    248,974

    248,960

    253,505

    269,384

    277,047

    남자

    247,149

    248,062

    252,311

    265,671

    274,906

    국립학교 학생 수

    467,918

    468,370

    476,676

    504,070

    520,201

    성별

    여자

    235,183

    235,040

    239,235

    254,223

    261,552

    남자

    232,735

    233,330

    237,441

    249,847

    258,649

    사립학교 학생 수

    28,205

    28,652

    29,140

    30,985

    31,752

    성별

    여자

    13,791

    13,920

    14,270

    15,161

    15,495

    남자

    14,414

    14,732

    14,870

    15,824

    16,257

    총 교사 및 직원 수

    45,363

    45,367

    45,882

    46,791

    47,168

    정규직 교사

    26,863

    27,205

    27,449

    28,490

    28,889

    성별

    여자

    21,936

    22,051

    22,285

    23,120

    23,479

    남자

    4,927

    5,154

    5,164

    5,370

    5,410

    자료원 울란바토르시 교육청 보고서 2016

       


    EMB000002bc0918









     

    3) 대학교 

      

      ㅇ 몽골 대학은 정부가 설립한 국립학교와 일반 개인이 설립한 사립대학그리고 외국계 대학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대학교육기관을 분류하면종합대학교 32.6%, 전문(단과)대학교 63.2%, 외국계 대학교 4.2%를 차지하며총 대학교육기관 95개 중 87(91%)가 울란바토르시에 위치함.


    대학 교육 현황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1. 대학교 수

    99

    100

    101

    100

    95

    이의국립

    15

    16

    16

    17

    17

    사립

    79

    79

    80

    78

    74

    외국 대학교 지점

    5

    5

    5

    5

    4

    2. 학생 수

    175,591

    174,045

    178,295

    162,626

    157,138

    이의여자

    102,427

    101,783

    102,520

    93,674

    91,526

    3. 국립학교 학생 수

    105,751

    101,855

    103,650

    95,033

    91,798

    이의여자

    58,715

    56,829

    57,588

    53,013

    51,588

    4. 사립대학교 학생 수

    69,353

    71,689

    74,233

    67,276

    65,075

    이의여자

    43,411

    44,623

    44,676

    40,465

    39,783

    5. 외국대학교 지점 학생 수

    487

    531

    412

    317

    265

    이의여자

    301

    331

    256

    196

    155

    6. 신규 입학자 수

    47,744

    47,182

    438,34

    29,023

    41,195

    이의여자

    27,795

    27,909

    25,097

    17,032

    24,097

    7. 졸업자 수

    37,243

    33,850

    35,181

    35,889

    n/a

    이의여자

    23,949

    21,662

    21,857

    21,848

    n/a

    8. 취업자 수

    15,559

    10,587

    11573

    11,072

    n/a

    9. 직원 수

    13,175

    13,212

    13,360

    13,057

    12,740

    이의여자

    8,221

    8,534

    8,456

    8,296

    7,945

    정규직 교사 수

    7,331

    7,385

    7,528

    7,121

    6,917

    이의여자

    4,371

    4,542

    4,628

    4,368

    4,130

    자료원울란바토르시 교육청


      ㅇ 2016년 기준 전국적으로 95개의 대학교에서 157,138명이 대학 교육을 받으며전년대비 대학교수는 5%, 학생 수는 4.4% 각 감소한 수치임.

        - 17개 국립학교에서 9만1798, 74개 사립학교에서 6만5075, 4개 외국계 대학교에서 265명의 학생이 다님전체적으로 각 대학 교육기관별 학생 수는 감소세임.

        - 대학교 총직원 수는 1만2740명이며 정규직 교사는 6.917명으로 54.3%를 차지함.


    4) 민간직업교육기관 및 어학원


      ㅇ 2017년 8월 기준 어학학원 및 민간 직업교육기관은 483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어학학원은 147개이며나머지 336개는 민간 직업교육기관임.

        - 어학학원 147개 중 수도인 울란바토르시에 140개 운영되고나머지 71개가 지방에 있음.

        - 또한 아직 몽골에는 입시학원이 존재하지 않으며 소규모의 수학 학원만 혹은 약 95%가 존재하며울란바토르시 외 지역에 5%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 직업교육기관의 경우 336개 중 265개로 79%가 울란바토르시에서 있음.

     

    □ 진출전략


      ㅇ 성공 수단으로 영어교육 중요성 확산에 따른 영어교육 시장 진출

        - 몽골에서 영어능력은 좋은 직장에 취업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며유아교육에서부터 시작되고 있음

        - 몽골 공립학교에서는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부터 영어와 러시아어 두 언어 중 하나를 선택해 배우기 시작함. 1990년대에는 러시아어를 대부분 학생들이 선택했으나 현재는 영어 과목이 선호되고 있음.

        - 영어교육에 대한 높은 수요에 따라 유아교육부터 영어를 가르치는 교육기관이 꾸준히 확대되는 것으로 조사되는 바영어교육 시장 진출 유망


      ㅇ 초기 단계에 있는 몽골 이러닝 시장 한국 기업 진출 필요

        - 몽골 이러닝 시장은 걸음마 상태로 몽골 기술대학교에서 모바일 교육 App 만들었으나 콘텐츠기능 면에서 부족해 인기를 얻지 못함따라서 다양한 콘텐츠를 보유한 국내 이러닝 기업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High Quality 교육 콘텐츠 제공 시 성공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됨.

        - 몽골 국민 중 스마트폰 사용자수는 약 235만 명으로 총 인구의 75%를 차지하며 소셜미디어 사용자수는 65만 명으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어 이러닝 교육을 위한 기초 환경을 이미 갖추고 있음

        - 또한 대학입학자의 약 60%가 지방 학생들이며, 이들을 위한 원격교육 및 이러닝교육 활성화가 필요


      ㅇ 과학기술 및 의학 등 실용학문 중심의 대학교육 시장 진출

        - 최근 8개년 통계 자료에 의하면교육·기술·의학대 학생 수는 지속 증가세를 유지하며 예술 및 인문대 학생 수는 하락세를 보임.

        - 몽골의 과학기술 및 의학 교육수준은 낮은 수준이므로 몽골 과기대 및 의과대에 선진 교수진 파견을 통한 교육사업 추진 가능

     

    총대학생 기준 전공별 차지율

    전공

    총 학생 기준 전공별 차지율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교육

    13.3

    13.2

    13.0

    12.6

    12.6

    12.7

    13.6

    14.0

    예술

    8.6

    8.7

    8.6

    7.6

    7.1

    7.1

    7.1

    7.5

    사회

    35.8

    34.5

    35.3

    34.8

    34.6

    7.0

    6.3

    5.2

    경영학

    사회학 항목에 포함

    26.1

    26.7

    26.7

    과학 및 수학

    7.0

    7.0

    6.9

    6.7

    6.6

    4.6

    4.1

    3.6

    컴퓨터

    과학과 기술 항목에 포함

    2.8

    2.7

    2.7

    기술

    17.1

    17.6

    18.9

    19.2

    19.5

    18.6

    19.0

    17.3

    농업

    2.8

    2.9

    3.1

    3.5

    3.3

    2.9

    2.7

    2.6

    의학

    9.8

    10.6

    9.2

    10.0

    11.0

    11.6

    11.8

    11.8

    서비스

    5.6

    5.5

    5.1

    5.5

    5.4

    4.0

    4.0

    4.0

    기타

    서비스 항목에 포함

    2.6

    1.9

    4.6

    합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원울란바토르 교육청

     

      ㅇ 유아교육시장 중심으로 한국어 교육기관 진출 유효

        -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어만 구사하는 몽골인들의 자녀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몽골 거주 한국인의 자녀를 위한 유아교육기관 설립 시 유망할 것으로 판단.

        - 2015년 기준 한국에 거주하는 몽골 국적 0~9세 아이 1386, 10~19세 1147명인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몽골에서 거주하는 한국인이 약 3000명임따라서 유아교육시장 한국계 업체 진출은 가능성 있음.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